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
영혼
혼
넋
얼
두뇌
혼령
d라이브러리
"
정신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이 반짝, 만화도 반짝 박석재 연구위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될 생각을 하신 건가요?제가 어렸을 적에는 밖에서 맘껏 뛰어 놀았아요. 냇가에서
정신
없이고기를 잡고 놀다가 문득 허리를 펴고 해가 진 저녁 하늘을 보면, 별이너무나 예쁘게 빛나고 있었지요. 그 때부터 저렇게 아름다운 별을 연구하는 학자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했어요.정말 낭만적이에요~! 가장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사람이 있었다. 인공 뇌를 연구하는 또 다른 과학자인 헨리 마크람 스위스 로잔공대 뇌
정신
연구소장이다. 마크람 박사는 IBM의 발표 직후 공개서한을 통해 “모다 박사의 발표는 사기”라고 주장했다. 그는 “모다 박사가 시뮬레이션한 뉴런은 이온채널과 같은 세부 사항이 빠져 있는 가장 단순한 ... ...
Part5. 원초적인 더러움, 똥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자신을 괴롭히는 말로부터 장벽을 쳐 자신을 보호하려고 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녀는
정신
의 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융이 비슷한 환자를 치료한 사실을 떠올리고 그의 방법을 이용했다. 그녀 역시 듣기 싫은 말을 들으면 큰 방귀소리를 낸 것이다. 환자는 처음에 적잖이 놀라 어찌할 바를 몰라 했다. ... ...
자폐증 위험 생후 6개월이면 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교수팀은 생후 6개월이면 뇌 영상으로 자폐증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고 ‘미국
정신
과학회지’ 2월 17일자에 발표했다.지난 2005년 캐나다 토론토 아동병원에서도 생후 6개월 때 얼굴표정이나 눈의 움직임 같은 증세로 자폐증을 판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만, 뇌에서 차이점을 ... ...
수학으로 꿰뚫는 추리 셜록홈즈 그림자 게임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홈즈가 발견한 시약으로 우린 꽤 여러 사건의 실마리를 찾아냈어. 물론 이번 영화에서는
정신
없고 바빠서 이 시약은 사용하지 못했네. 대신 판단이 빠르고 조금 인간적인 방법을 택했지. 모리아티 교수의 음모를 뒤쫓던 중 점술가 ‘심’의 오빠를 찾으러 가서 발견한 자국을…! 직접 맛본 홈즈가 ... ...
우리 집이 달라졌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주려고 하는 것 맞지?”폴의 말에 폴리스는 아무런 대꾸도 없이 고개만 끄덕였다. 폴은
정신
을 차리고 안전한 매듭을 선택해 건물 밑으로 탈출하는 데에 성공했다. 폴이 문제를 푸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던 모일러는 폴이 건물 밑으로 내려가자 다시 큰 소리로 말을 했다.“흥, 뮤클리드 말대로 ... ...
PART 3. 반려동물이 가져다 준 행복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좋아했다.정영호(가명) 씨는 최근 병실에서 계속 자살을 시도했었다. 담당 간호사에게 “
정신
과 약을 한 달 동안 모았다 한 번에 먹으면 죽을 수 있어요?”라고 스스럼없이 묻기도 했다. 조울증 환자는 한 번 죽고 싶다고 생각하면 이 생각에 사로잡혀 헤어 나오기가 힘들다. 하지만 오늘 가장 즐거워 ... ...
중심체 없는 편형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상당수 발생한다. 예를 들어 암은 비정상적인 세포 분열과 연관이 있으며 아이들의 일부
정신
지체 증상도 비정상적인 세포 분열이 원인이다. 중심체는 이런 질환의 유전학적 치료 수단으로 여겨졌다. 연구진은 “중심체에 또다른 기능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분석했다. 이 환자는 늦게까지 잠을 이루지 못하다가 아침이 되면 곯아 떨어져 오후에나
정신
을 차린다. 조사 결과 75%의 수면지연 증후군 환자 역시 짧은 per3 유전자 쌍을 갖고 있었다. per3 유전자가 짧은 사람은 늦잠을 잘 수밖에 없는 것이다.faxl3도 늦잠꾸러기 유전자다.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조난구조활동을 할 때까지 현장에 얼어붙어 있기 때문에 주변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
정신
분석학적으로는 불안상황에서의 퇴행(regression)이라고 한다. 무기력한 아이로 돌아가서 주변에 있는 힘 있는 사람의 도움을 원하는 것이다. 패닉형 눈앞에 두고도 못 찾는 비상구패닉형은 공포에 질려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