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동TV] 수학으로 따지다! 미스터리 외계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너머로 외계인을 본 것 같단 말이죠. 헛것을 본 거라고요? 그래서 이참에 외계인의 존재 여부도 밝히고 직접 찾아보려고 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수동TV] 수학으로 따지다! 미스터리 외계인Part1.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Part2.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방법을 소개하려고 해. 게임을 즐기다 보면 형태는 다르지만 대부분 크리티컬 히트가 존재해. 크리티컬 히트는 일반적인 공격보다 더 강하게 적을 공격하는 것을 뜻해. 크리티컬 히트는 개발자가 지정한 확률에 따라 ‘터지게’ 되는데, 만약 10%로 지정했다면 10번의 공격 중 한 번은 크리티컬 히트가 ... ...
- [매스크래프트] #7. 네덜란드 풍차, 우정을 그래프로 표현하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수를 구하는 ‘파티 문제’가 있어요. 램지 수는 서로 아는 m명 또는 모르는 n명이 반드시 존재하는 최소 인원으로, R(m, n)으로 표현해요. 따라서 램지 수를 이용하면 파티에 서로 아는 m명이나 모르는 n명이 반드시 있기 위해서는 몇 명을 불러야 하는지 알 수 있죠. 가장 간단한 파티 문제는 R(3, 3)으로 ... ...
- 코로나19 팩트체크┃ 백신, 치료제, 개발됐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갖춰지면 스스로 살아가며 번식할 수 있다. 반면 바이러스는 생물도 무생물도 아닌 중간 존재로, 스스로 증식할 수 없으며 숙주에 기생해서만 살 수 있다. 바이러스가 책상, 옷 등 물건에 묻었을 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 사멸하는 이유다. 즉, 폐렴백신은 폐렴구균이라는 박테리아에 작용하기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이제이(以夷制夷). 오랑캐로 오랑캐를 무찌른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우리가 바이러스를 활용하는 데도 들어맞는다.바이러스는 1900년경 인류에게 감염병을 전파 ... 가운데, 인간을 갉아먹는 악으로만 여겨졌던 바이러스가 이제는 거꾸로 선행을 베푸는 존재로 떠오르고 있다 ...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과학자가 개의 위장을 해부하다가 우윳빛 혈관을 발견했다. 지금은 림프구 등 백혈구의 존재가 알려졌지만, 당시에는 ‘혈관은 붉은색이어야 한다’는 상식을 벗어난 것이었다.인간이 선천(innate) 면역반응과 후천(adaptive) 면역반응의 두 가지 면역 경로를 보유하고 있다는 현대 면역학의 토대가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도하는 신호를 내보내기도 한다. 자연살해세포는 성인 기준 체내에 약 1억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살해세포는 감염 후 수일 내로 작용하는데, 그 기능상의 활성도는 20세를 전후로 최고조에 이르고, 이후 점차 떨어져 60세에는 절반으로, 80세에는 3분의 1 수준이 된다 ...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오늘날에는 ‘보체(complement)’라고 불린다. 보체는 병원체가 침투하기 전부터 체내에 존재하며, 항체-항원 복합체와 연쇄 반응을 일으켜 병원체를 파괴하는 물질이다. 보체가 항원-항체 반응에 관여하는 경로는 현재까지 세 가지가 밝혀져 있다. 1898년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에서 일하던 보르데는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같은 역할을 하는 수용체를 쥐의 몸속에서 찾아냈다. 외부에서 들어온 항원의 표면에 존재하는 지질다당류(LPS·lipopolysaccharide)가 숙주세포에서 염증반응을 일으킨 것이다.그는 1983년 미국 록펠러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선천 면역반응을 주도하는 대식세포와 반응하는 카첵틴(cachectin) ... ...
- [과학뉴스] 물방울 모양 별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지난 3월 9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를 비롯한 국제 천문학자들은 우리 지구로부터 약 1500광년 떨어진 곳에서 특이한 별을 발견 ... 논문의 공동 저자인 영국 센트럴 랭커셔대학교 돈 커츠 교수는 “이론적으로만 존재할 것으로 생각했던 별을 처음 발견한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