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d라이브러리
"
지표
"(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이용하는 수돗물과 다른 이유가 여기에 있다.물은 지하에서 오랫동안 머물러 있다가
지표
로 나온다. 이 사실은 우리가 지금 오염시킨 환경에서 만들어진 지하수가 오랜 시간이 흐른 뒤 이 땅에 살고 있을 후손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임을 의미한다. 지상 환경뿐 아니라 지하 환경까지도 잘 보존해야 ...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밝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light pollution)라고 한다.원래 광공해는 야간조명에 의한 밤하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지표
로 천문학에서 사용되던 말이었다. 도시의 불빛이 너무 강해 밤에 하늘의 별을 보기 어려워지면서 점점 천체관측시설을 교외로 이전해야하자 천문학자들이 문제를 제기했던 것이다.광공해가 소음공해처럼 ... ...
구상암에 꽃이 피었습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지나면서 침식과 풍화를 받아 표토 물질이 모두 깎여나가고 나면 드디어 구상암이
지표
에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그 동안 상주 구상암은 화강암에 발달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사실은 섬록암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섬록암은 화강암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지만 화강암보다 어두운 색을 띤 광물을 ... ...
황금보다 귀한 감람석 품은 현무암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하부에 위치한 맨틀을 구성하는 주된 물질로 1500℃의 높은 온도에서도 잘 녹지 않으며
지표
에서는 찾아보기가 매우 어렵다. 그렇다면 이런 감람석이 어떻게 백령도에 나타나게 된 것일까.이는 지하 수십km 깊이에서 고온, 고압의 맨틀 상부에 암석 상태로 있던 감람석의 일부가 지하에서 마그마가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시계회사 세이코는 E잉크사와 함께 전자잉크를 이용한 손목시계를 만들기로 했다. 이를 이용하면 플라스틱, 섬유, 종이 등 어떤 재질 위에 ... 기복(起伏)이 이어지는 해안평야 침식작용이 진행된 해안평야는 지층의 경사에 비해
지표
면의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에 삭박면(削剝面)에는 지층의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구모양, 타원체모양, 막대모양, 불규칙 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지하의 얕은 곳 또는
지표
에서 암석이 굳을 때 생긴 빈틈이다 일반적으로 화성암에서 볼 수 있다 극히 작은 구멍이 많은 금속 금속분말을 소결(燒結)해서 얻는 다공체는 대개 베어링이나 여과용 필터에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지진을 미리 예보하는 일 등은 여전히 어렵고 불확실하다. 따라서 우리가 살고 있는
지표
면과 대기, 해양이 서로 주고받는 영향을 파악하고 장기적인 기후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오늘을 사는 우리 가 풀어가야 할 과제일 것이다 ... ...
2. "열려라 주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풀기 위해 기존 이론을 수정하는 등 상당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실제 실물 경제
지표
는 역동성과 비예측성 등 복잡계의 대표적 특성을 보인다. 복잡계의 대표적인 현상이 날씨와 신경계다. 복잡계는 많은 수의 구성 요소들이 상호작용과 자기조직화를 통해 새로운 집단적 성질을 창발적으로 ... ...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관을 직각으로 구부러지게 한 수은온도계 주로 얄은 곳의 지중온도계로서 눈금 부분을
지표
에 수평으로 놓고 사용한다관이 굽어진 곳에서 구 부분까지가 수cm에서 30cm 정도까지의 여러 종류가 있다일정한 점에서 측정한 길이에 그 점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음양의 부호를 붙여서 S로 표시하고 ... ...
소금의 힘에 무너진 쇠소깍 아귀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주로 화학적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암석은 조면암질 현무암이다. 현무암에는
지표
면에 분출한 용암이 식는 과정에서 가스가 빠져나오지 못하고 용암 내부에 갇혀 생겨난 기공이 수없이 많다. 현무암을 두고 ‘벌레 먹은 돌’이라고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표면에 구멍이 많은 현무암의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