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별예"(으)로 총 1,3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지금까지 탯줄과 태반은 아기가 태어난 후 감염성 폐기물로 취급돼 소각되거나 땅에 묻혔다. 하지만 여기에 난치병을 고칠 수 있는 귀중한 생명재료와 21세기 생명공학을 이끌 소중한 재료가 들어있다면…. 첨단 생명공학으로 다시 이용되는 탯줄과 태반의 과학을 살펴보자.서울 시내의 한 산부인 ...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과학동아 l2002년 02호
- MEMS가 IT와 만났다. 광속과도 같은 인터넷이 첨단 초소형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하는 IT의 미래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다. IT 기술의 발전에 MEMS는 어떤 역할을 담당할까.2010년 사람들로 붐비는 도심의 거리.정보통신단말기판매업체가 이제 갓 출시된 따끈따끈한 신형 단말기를 홍보하는 거리판촉전을 ... ...
- 장기이식용 돼지 복제 성공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장기이식용 돼지’ 생산을 놓고 선두 다툼을 벌여온 미국과 영국의 바이오 벤처기업이 지난 1월 초 골인점을 통과했다고 거의 동시에 발표했다.미국 미주리대와 바이오벤처인 이머지바이오 세러퓨틱스 연구진은 인체에 이식할 경우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제거한 복제돼지 4마리를 복제 ... ...
- 항공우주재료공학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초음속으로 나는 비행기나 우주공간을 향하는 로켓에 사용되는 재료는 어떤 것일까.가벼우면서 강하고 고열에도 끄덕없는 재료인 항공우주재료를 만나보자. 얼마 전 K군은 겨울방학을 맞아 제주도 시골집에 가게 됐다. K군은 비행기를 이용했다. 비행기가 뜰 때 어김없이 무중력의 야릇함이 찾아 ... ...
- BT - 생체 혁명 주도하는 전초기지과학동아 l2002년 01호
- 21세기 인류가 해결해야할 문제는 한두가지가 아니다. 무엇보다 인구증가에 의한 식량문제와 환경문제, 그리고 석유와 같은 자원의 고갈은 인류의 생존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 이런 현안에 맞추어 BT(Bio-Technology, 생명공학기술)산업이 대처해 가는 모습을 10년 후의 미래로 가서 직접 만나보자. 석유 ... ...
- 조선시대 서민이 원기둥을 쓰지 못한 까닭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초등학교 학생에게 자기집을 그려보라면 아마 절반 이상은 아파트를 그릴 것이다. 전체적으로 네모난 모양이지만 각 집에 나있는 문과 창문도 사각형이고 각 방의 바닥도 사각형이다. 건축은 자연을 모방한 것이고 자연에는 수많은 형태가 있는데 왜 하필이면 사각형을 사용했을까. 주변 건축물의 ... ...
- 눈과 손으로 함께 '보는' 책과학동아 l2002년 01호
- 봄부터 가을까지 온 산과 들을 가득 메우고 있던 꽃과 나무도 볼 수 없고, 동물을 구경하러 야외로 나가는 것도 여의치 않다. 까만 하늘에서 축복처럼 떨어지는 별똥별을 보고 싶지만 높은 산자락에 쌓인 눈을 보면 그도 어려울 것 같다.겨울은 과학과 별로 인연이 없는 계절일까. 하지만 겨울이라고 ...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연결해 가상의 슈퍼컴퓨터로 활용한다는 개념의 그리드 컴퓨팅이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전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그리드 컴퓨팅 관련 프로젝트가 그 열기를 증명한다. 그리드 컴퓨팅의 개념과 현주소, 그리고 이에 따른 컴퓨팅 패러다임의 변화를 짚어보자. 오늘 하루 12 ...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과학동아 l2001년 12호
-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려면 1억도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초고온 플라스마를 어디에, 어떻게 오랫동안 효과적으로 가둘 수 있을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전도 자석 기술, 중성입자 빔 가열 기술 등 최첨단 기술이 힘을 합쳤다.핵분열, 핵융합과 같은 핵반응에서는 막대한 열과 빛의 형태로 에너지 ... ...
- 노벨상 도전하는 세계적 과학자 양성 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전국 16개 과학고 중 부산과학고가 지난 10월말 과학영재학교로 선정됐다. 과학고에서 과학영재학교로 전환되면 무엇이 달라질까. 과학영재학교의 학생선발, 교육내용, 대학진학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자. 지난 11월 14일 부산과학고에 김영환 과학기술부 장관을 비롯해 부산광역시 교육감,부산과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