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쾌활
명랑
활동
행동
실행
활기
원기왕성
d라이브러리
"
활발
"(으)로 총 2,3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다시 말해, 오른쪽 전전두피질이
활발
해지면 불행과 고민이 많아지고, 왼쪽 반구가
활발
해지면 행복해지고 열정에 찬다는 것이다. 극단적으로 오른쪽 전전두 쪽으로 활동성이 기울어져 있는 사람은 임상적으로 우울이나 불안장애를 보인다.데이비슨 박사는 1만~5만 5000시간 명상수행을 해온 티베트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최신 연구, 차가운 극지방에 사는 미생물과 뜨거운 해저 열수 분출구 주변의 생태계 등을
활발
하게 토의했다.참석자 중 미국 카네기연구소의 로버트 헤이즌 박사는 광물과 생명의 진화가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 생생하게 설명했다. 헤이즌 박사는 “오늘날 지구표면에 약 4500여 종의 광물이 ... ...
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준결정이 계속 발견되며 결국 결정학 교과서를 새로 써야 했다. 준결정 연구는 여전히
활발
하게 진행 중이다. 국제준결정학회 같은 대규모 국제학회도 꾸준히 열리고 있다. 새로운 준결정 구조를 발견하는 것은 아마 끝이 없을 것이다. 지금도 어느 연구자의 책상 서랍 속에 풀지 못한 수수께끼로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후로 나비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이루어졌으나 훨씬 더 많은 나방에 대한 연구는
활발
하지 못했다.나비와 나방의 가장 큰 생태적 차이는 활동 시간대다. 나방은 대부분 야행성이고 나비는 모두 낮에만 활동한다. 미진했던 나방의 생태를 연구하려면 야간이 더 효율적이다.많은 애벌레들이 밥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얻을 수 있는 1석 2조의 방법은? 최근 유전과 석탄층에 이산화탄소를 가두는 연구가
활발
하다. 이산화탄소를 땅에 저장해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으면서 석유와 메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연구결과, 석유를 더 이상 뽑아낼 수 없는 땅에 인산화탄소를 집어넣으면 이산화탄소만 저장되고 남은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속도로 이동했다. 사용료만 내면 지구 반대편까지 한 번에 갈 수도 있다. 우주개척도
활발
해졌다. 간단한 자격증만 있으면 달이나 화성까지 몇 분 안에 갈 수 있다.사람은 본래 자신의 몸을 그대로 갖고서는 빛의 속도로 이동할 수 없다. 음속만 돌파해도 숨도 쉬기 어렵다. 그 이상 빨리 움직이면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유전자 발현(전사)이 높아진다. 노 교수는 “이처럼 노화가 일어날 때 전사가
활발
해지는 유전자를 ‘노화관련 유전자(senescence-associated gene, 줄여서 SAG)’라고 부른다”고 말했다.SAG 가운데는 생체분자를 재활용하기 위한 각종 분해효소의 유전자 뿐 아니라 ACC생성효소와 ACC산화효소의 유전자도 ... ...
새들도 장래 계획 세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좋은 먹잇감이지만 움직임을 예측하기 어렵다. 매일 원정을 떠나지도 않으며 원정이
활발
한 시기와 뜸한 시기가 번갈아 반복된다.연구팀은 새들의 행동을 관찰한 결과 이들이 원정을 떠난 군대개미의 임시 거주지를 매일 확인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새들은 군대개미 원정대를 잡아먹은 뒤 해가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박사는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여행이
활발
한 미래에 도착했다. 인류는 이미 태양계를 떠나 새로운 행성에 살고 있었다. 아인슈타인 박사가 도착한 타임머신 터미널에서는 웜홀과 블랙홀 등을 이용해 우주 곳곳으로 빠르게 여행할 수 있으며 미래와 과거도 여행할 수 있다. 아인슈타인 박사는 이곳을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클럽에서도 병에 저항성을 가진, 그러니까 면역력이 강한 동물을 만들기 위한 연구가
활발
합니다. 특히 가축은 밀집 사육을 하기 때문에 한 마리가 병에 걸리면 모두 감염되기 쉽죠. 그래서 더 튼튼한 동물을 만들어야 하는 겁니다.돼지 우리 면역 유전자를 연구하면 사람에게도 유익합니다. 우리는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