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구조
합성
맞춤
혼합
구상
마춤
뉴스
"
조립
"(으)로 총 931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기름 ‘상극’인 물질 결합시켜 나노복합체 개발
2014.12.11
유도된 물질과 올레익산으로 안정화된 산화철 나노입자의 양친성 층상
조립
박막 제조 과정의 모식도 -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제공 국내 연구팀이 화학적 성질이 완전히 다른 물질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개발해 신개념 나노복합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조진한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 ...
종이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 가로세로 0.7mm짜리 평면이 마치 색종이가 접히듯 스스로
조립
돼 폭 0.2mm 길이 0.5mm 로봇으로 변신한다. 하이드로젤 스마트 시트의 모습. 온도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팀은 이 로봇을 만들기 위해 ‘하이드로젤 스마트 시트’라는 특수 ... ...
이황화몰리브덴 차곡차곡 4층 쌓았더니
2014.10.21
음전하(-)를 띠는 이황화몰리브덴과 양전하(+)를 띠는 고분자 전해질을 번갈아 자기
조립
하는 방식으로 여러 층으로 적층해 수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에서도 빛을 내는 나노 박막을 제작했다. 실제로 이황화몰리브덴 분자를 네 층으로 쌓자 발광 효율이 최대 4배 이상 향상됐다. ... ...
“손목에 스마트 밴드 차니 3㎏이 쑥 빠졌네~”
2014.10.05
개발 중인 ‘스마트 토이’는 유아용 교육시장을 겨냥한 제품이다. 레고 같은
조립
식 블록 장난감에 스마트 기능을 얹었다. 영어교육 땐 알파벳 블록을 단어 순서대로 맞추면 발음을 들려주고 영상도 보여주는 생생한 실습이 가능하다. 앱을 깔아주면 원하는 모양의 스피커나 TV같은 전자제품을 ... ...
주사로 하이드로겔 맞으세요~
2014.09.17
김기문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POSTECH 화학과 교수)팀과 함께 공동으로 개발한 자기
조립
하이드로겔도 이번 리뷰 논문에 소개됐다. 여기에는 암이나 뇌졸중 등의 질환을 치료할 줄기세포를 넣을 수 있다. 현재 이 하이드로겔은 (주)제넥신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상용화를 본격 추진하고 ... ...
로켓 소녀에서 국가 안보 지킴이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9.02
있는 송 연구원을 만났다. 로켓에 관심을 갖다 송 연구원은 초등학생 때부터 과학상자
조립
대회, 우주소년단, 과학반 활동, 수학올림피아드 등에 참가하면서 과학자의 꿈을 키웠다. 그녀의 부모님 또한 과학 관련 기사와 책을 보여주는 등 자녀 교육에 열정적이었다. “당시 미국에서 로켓 ... ...
[표지로 읽는 과학] 부모의 생활습관 아기에게 고스란히 ‘유전’
2014.08.17
대한 여러 내용이 실렸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에는 단백질끼리
조립
돼 복합체를 이룬 모습이 담겼다. ‘CUL4-RBX1-DDB1-CRBN (CRL4CRBN)’라는 다소 긴 이름의 이 단백질 복합체는 세포 속에서 다른 단백질에 죽음의 꼬리표인 ‘유비퀴틴’을 붙이는 역할을 한다. 꼬리표가 붙은 ... ...
헉! 종이 로봇의 트랜스포머 3단 변신
2014.08.08
책상 위에 펼쳐진 종이 한 장. 잠시 후 종이가 꿈틀대기 시작하더니 네 다리를 만들고, 마치 고양이가 기지개를 펴듯 다리를 쭉 펴고 일어난다. 그리고 이번엔 몸통을 세우더니 다리까지 꼿꼿이 세운다. 사람 손 하나 안 대고 길이 10cm, 무게 78g의 초소형 로봇이 순식간에 탄생했다. 로봇의 3단 변 ... ...
스스로
조립
되는 ‘나노 바둑돌’
과학동아
l
2014.07.07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금 나노입자를 이용해 볼록렌즈 형태의 입자를 자기
조립
하는 방법을 고안해 화학분야 학술지 ‘미국화학회지’ 3일자에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볼록렌즈 모양의 이 입자는 특이한 광학적 성질 때문에 광센서,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직접 깎거나 ... ...
항암치료 효과 2.5배 높이는 DNA 나노머신
과학동아
l
2014.06.26
세포에 의해 삼켜질 때 1차적으로 세포에 전달돼 항암치료를 돕는다. 또한 자기
조립
과정을 통해 한 곳에 뭉친 금 나노입자는 근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광학적 성질로 바뀌게 되어 근적외선을 이용한 광열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손세진 연구원은 “광열치료를 병행하자 간섭RNA를 이용한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