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 첫 탐사] 인류, 9년 6개월 만에 드디어 명왕성과 만났다
2015.07.15
그리스신화에 등장하는 ‘저승세계의 신’ 하데스의 다른 이름이다. NASA는 명왕성을
발견
한 톰보의 공로를 고려해 뉴호라이즌에 그의 유골 28g과 미국 국기, 명왕성 그림이 그려진 1991년 우표 등을 실어 보냈다. 하지만 뉴호라이즌이 발사되고 약 7개월 뒤 국제천문연맹(IAU)이 행성 분류법을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14
지금의 4종으로 나뉘었을 거라 생각하고 있지요. 또한 루나타스피스 아우로라 화석의
발견
을 통해 투구게가 약 4억 5000만 년 전부터 지구에 살아온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보고 있답니다. ○ 투구게의 일생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 헌혈천사 투구게 4억 500 ... ...
암세포 자살 방법 7년만에 찾았다
2015.07.13
단백질인 ‘PDCD5’가 p53 단백질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HDAC3의 기능을 잃게 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유전정보가 담긴 DNA가 손상되면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한다. DNA가 손상됐을 때 일어나는 신호가 PDCD5 단백질을 활성화하고, 이렇게 활성화된 단백질은 HDAC3를 분해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물론, p53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건 아니라는 최초의 증거가 나온 건 사탕수수의 줄기에서 질소고정이 일어나는 현상을
발견
한 1990년대라는 언급이 있다. 사람의 몸 이곳저곳에 미생물이 있듯이 식물체에서 터를 잡고 사는 미생물을 ‘식물내생생물(endophyte)’라고 부르는데, 이 가운데 질소고정 능력이 있는 종류가 있다는 사실이 ... ...
종이 판다 아닌 야생 판다가 풀밭에 있다면?
2015.07.12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판다는 대나무가 먹이인 만큼 초식동물의 장에서 많이
발견
되는 장내미생물이 있어야 하지만 오히려 육식동물과 잡식동물처럼 대장균과 스트렙토코코스(Streptococcus)가 많았다는 것이다. 당시 연구를 진행한 지아오얀 팡 상하이지아오통대 교수는 “판다의 특이한 ... ...
에이즈 백신 개발을 향해
2015.07.12
것이다. 사이언스는 이번 호에서 에이즈 백신 개발 현황을 다뤘다. 에이즈 바이러스는
발견
된 지 40년 이상이 흐른 현재까지 약 39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인류 최악의 전염병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에이즈 바이러스는 유전자 변이가 너무 빨리 일어나 아직까지 백신이 개발되지 못했다. 최근 ... ...
파도따라 밀려온 ‘독한 놈들’ 일단 피하는 게 상책
2015.07.11
청자고둥을 볼 수 있다”면서 “호주 같은 열대 해역에서는 5m 이하의 해수욕장에서도
발견
되지만 국내에서는 스쿠버다이버 등 깊은 바다에 들어가는 사람이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 ...
핵실험 흔적, 우리가 직접 찾아낸다
2015.07.08
이뤄진다. 사찰 시료는 먼지가 다량 섞여 있는 가루 형태이기 때문에 핵분열의 흔적을
발견
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국내 기술은 시료에 포함된 핵물질 전체를 화학 처리해 한꺼번에 분석하는 총량분석 기법이 사용됐다. 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의 ... ...
입자가속기 손상 시킬 ‘최후의 암초’ 드디어 찾았다
2015.07.08
공명현상은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연구팀이 사실상 마지막 공명현상을
발견
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 연구위원은 “현재 IBS에서 건설 중인 중이온가속기 또한 선형가속기인 만큼 이번 연구결과를 응용해 운전효율을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물리학 ... ...
“바다뱀 찾아 주시면 사례금 100만 원 드립니다”
2015.07.08
말했다. 지난해 박 교수는 제주 문섬 근처에 통발을 설치했다. 이 지역에서 바다뱀이
발견
됐다는 제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박 교수팀의 연구원은 직접 다이빙해 바다에서 며칠씩 바다뱀을 찾기도 했다. 하지만 바다뱀은 쉽게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박 교수는 “국내에서는 바다뱀이 어느 정도 ... ...
이전
876
877
878
879
880
881
882
883
8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