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가책을 느껴 잠을 못이루면서 10만원짜리 소프트웨어를 도둑질(무단복제)하는 데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사용자들이 이러한 인식을 버리지않는 한 양질의 소프트웨어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물론 이 문제는 사용자 의식교육으로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지도가 관료학자들이나 조선정부의 지도제작자들에 의해 제작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눈
을 돌릴 필요가 있다. 벼슬길에 오르지 않은 선비들이 천하도를 주로 만들었다. 그들이 추구하던 이상적인 세계와 환상의 세계가 추상화된 지도의 그림으로 나타난 것이다. 지도책의 첫머리에 이런 지도를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4개 정도 낳는 게 일반적이다.알을 품는 기간은 14일인데 암컷만이 품는 일을 전담한다.
눈
도 안뜬 벌거숭이 병아리가 태어나면 암수가 함께 먹이를 물어다 기른다.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몇 마리의 구관조가 애완용으로 수입돼 보급되고 있다. 그 수는 아주 적다. 게다가 사육기술이 떨어져 번식력도 ... ...
자외선의 양 측정 콘택트 렌즈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피부암을 일으킬 수도 있는 자외선이 반드시 태양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만 해를 입히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파장 2백80~3백20㎚(${10}^{-9}$m)의 자외 ... 양을 측정하는 방법도 현재 연구중이다. 아무튼 이 연구가 더 진척되면 자외선이 피부와
눈
에 미치는 악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삼태성의 중간부분에서 붉은색의 밝은 별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 별이 바로 황소의
눈
에 해당하는 α성 알데바란(Aldebaran)이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알데바란 주위의 별들은 V자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 별무리를 히아데스(Hyades) 성단이라 부른다. 황소의 얼굴부분을 이룬다. 그리스신화에 따르면 이 ... ...
열등의식의 해소수단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접어드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 인지발달에 따라 자기 나름대로 외부세계를 보는
눈
이 생기게 된다.과거에 부모에게 가졌던 절대적 존경심과 믿음이 깨지는 것도 청소년기의 특징이다. 부모와는 세대차이가 나서 말이 안통한다는 등 비판적이 되고 자기 논리에 따른 자기 주장을 펴게 된다. 이러한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살았던 것으로 추정한다. 두개골 뇌 용량등이 현대인과 비슷하고 아래턱이 발달하고,
눈
위의 융기도 높지 않으며 키는 1백80㎝ 정도로 지금의 백인종과 유사하다. 이들은 후기 구석기문화를 이룩했었다.우주달력/1백50억년을 1년으로단군 조선 개국은 12월 31일 23시 59분 50초우주력으로 따지면 인간의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역설한다.과학에서의 '자유' 개념을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눈
(雪)의 결정을 살펴보자.
눈
의 결정은 6각형으로 알려져 있지만 특별한 형태에 관해서는 정설이 없다. 따라서 결정체를 여러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자유가 과학자에게 허용되는 셈이다. 이러한 자유를 통해 과학자는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표본이 되는 물을 채취, 엄격한 성분시험검사를 거친 뒤에 결정한다. 그러나 우리는
눈
으로 보거나 그 물에 사는 곤충의 수와 종류를 보고도 수질을 짐작할 수 있다.1급수는 말하자면 식수로 쓸 수 있을만큼 깨끗한 물을 말한다. 여기에는 적어도 30종 이상의 곤충이 살고 있다. 망근쟁이 소금쟁이 ... ...
오스트레일리아 특별동물구(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새나 뱀을 즉시 마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두꺼비들은 보호용 선전 수단이 상대방의
눈
에 잘 띄도록 밤이 아닌 낮에 활동한다. 유럽두꺼비는 뱀을 만나면 몸을 부풀려 발끝으로 우뚝 서서 갑자기 몸이 커진 것처럼 보이게 한다. 자신과 마주친 뱀을 당황하게 하는 것이다. 5 ③ 격투하는 뱀은 매우 ... ...
이전
878
879
880
881
882
883
884
885
8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