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뉴스
"
대학
"(으)로 총 10,36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암호 연구 안 하면 산업계 혼란 불 보듯 뻔해”
과학동아
l
2016.01.14
계획을 발표하고 전세계 암호학자들의 참여를 요청할 예정이다.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
대학
원 교수(전 청와대 안보특보)는 “에드워드 스노든이 미국의 전세계적인 정보 수집을 고발한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NSA는 이미 RSA 등의 암호체계에서도 정보를 빼낼 수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 ...
장인정신으로 과학 완성하는 천생 ‘공학자’
2016.01.14
우주공학과는 다소 다른 길을 걸어 왔다. 현재 그의 전문분야는 금속 구조재 코팅이다.
대학
졸업 후 삼성전자를 거쳐 현재 재료연구소에 입사한 것은 2000년. 그 이후 한 직장에서 16년 째 근무하고 있는 셈이다. 김 실장이 지닌 ‘공학자‘로서의 자부심은 대화를 이어가는 내내 드러났다. 그는 ... ...
“최상위권대 자연계-의대 가려면 수학 5.9%- 과탐 4.1%內 들어야”
동아일보
l
2016.01.14
고려대는 수능 2개 영역이 2등급 이내거나 등급 합이 5 이내여야 한다. 의학계열은
대학
마다 최저학력 기준이 다양하지만 보통 3개 영역 등급 합이 4 이내다. 자연계열 최상위권과 의학계열 변별력의 핵심은 과탐이다. 남윤곤 메가스터디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국어와 수학 변별력이 낮아 1등급 ... ...
“내 자식은 무조건 이과”… 학부모 쏠림에 科高 ‘뜨고’ 外高 ‘지고’
동아일보
l
2016.01.14
미스매치(불일치)는 앞으로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2014∼2024년
대학
전공별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인문계열은 10만1000명, 사회계열은 21만7000명의 인력이 초과 공급된다. 그러나 공학계열은 21만5000명이 부족하다. 배영찬 한양대 화학공학과 교수는 “문·이과 미스매치를 ... ...
와인과 은하를 사랑하는 천문학자
2016.01.13
연구 인프라 구축이었다. 출연연이 연구 인프라를 만들면 이를 이용해 연구를 하는 것은
대학
교수들의 몫이었다. 이런 현실 속에서도 경 연구원은 출연연이 천문학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날을 기다렸다. 또 미래 천문학의 연구 분야는 은하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연구원에서 같은 ... ...
[Health&Brauty]융복합 연구에 투자… 감염병 극복·맞춤형 의료의 길 앞장
동아일보
l
2016.01.13
등과 함께 정기적인 학술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홍식 고려대 의과
대학
장 겸 의학전문
대학
원장은 “이제 의대 교육은 단순한 임상적 교육을 넘어 창의적인 교육으로 발전해 가야 한다”며 “고려대 의대는 학생들이 연구에 접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연구실습 커리큘럼을 개발해 우수한 의학자 뿐만 ... ...
과학기술연합
대학
원
대학
교(UST) 신임 총장에 문길주 씨
2016.01.12
0일까지다. UST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캠퍼스로 활용해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특수
대학
으로 석·박사 과정만 운영한다. 문 신임 총장은 UST 운영위원회 심의에서 최종 후보자로 단독 추대된 뒤 설립연구기관장회의 선임 과정을 거쳤으며, 11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승인을 통해 총장으로 ... ...
“쓸모 있는 기술이 진짜 과학”
2016.01.12
기계기술을 산업과 연결하는 창의엔지니어링 센터장을 맡고 있다. 과학기술연합
대학
원
대학
교(UST)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후진 양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그의 삶을 듣다 보니 ‘포항에서 태어난 그가 안내한 목포 음식점’이라는 모습마저 삶과 닮아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 “열린 마음으로 ... ...
“2년 더 고통의 시간 보내야 하나” 말기환자들 긴 한숨
동아일보
l
2016.01.11
판단을 ‘해당 분야의 전문의 2명’으로 규정한 것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학
병원의 경우 대개 환자 상태는 주치의가 가장 면밀하게 살핀다. 하지만 주치의가 전문의 이상(전임의, 교수)이 아닌 전공의(레지던트)일 가능성도 크다. 이럴 경우 환자를 드문드문 봤던 의사가 회생 불가능 ... ...
“지질학의 최대 매력은 삶에 직접 연결된 것”
2016.01.11
잘 맞는 사람도 있지만 잘 맞지 않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고 연구원은 서울대
대학
원에 진학하면서부터 지금까지 계속 지하수 연구를 하는 지하수 전문가다. 박사과정 때 지하수 수위로 산업체 가스저장고의 안전성 모니터링을 진행했고, 지하수 연구를 계속 할 수 있는 곳을 찾아 2001년 ... ...
이전
879
880
881
882
883
884
885
886
8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