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사의 적극적 실천자세가 앞서야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내부에 정확한 가치 규명이 없는 관념적 추상성에 머물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이 규정을
보고
교사가 과학교육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행해서 어떠한 인간을 키워야할 것인가가 분명하지 않다.과학이 과학 자체만으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제반 사회적 역사적 상황과 상호연관을 맺고 ... ...
PART2 사무자동화(OA) 서류없는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산업문화의 편중현상을 지양하기 위해서 절대 필요하다.85년도 전기통신학술 연구과제의
보고
서에 의하면 문서를 송수신하는 수단으로 전화 25%, 우편과 사람이 각각 17%, 그리고 팩시밀리가 15%로 이들 네가지 수단이 전체의 4분의 3이 된다. 따라서 OA구축에서 이들 장치의 네트웍과 함께 전자우편의 ... ...
지리도형정보관리시스템 컴퓨터에 의한 국토관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연결된 자동제도기로 다시 그려낼 수 있다. 그리고 도형정보와 관련된 비도형 정보를
보고
서 형태로 동시에 출력시켜 활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그래픽웍스테이션과 접속된 하드카피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MISS의 적용분야●지적 관리 ●도시 계획 ●주택 관리 ●도로 관리 ●각종시설물 관리 ... ...
제주도의 화산동굴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비롯해 약 60여개의 화산동굴이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는 제주도는 한마디로 화산동굴의
보고
이다.화산동굴의
보고
(宝庫) 제주도 동굴이라 하면 석회동굴(石灰洞窟) 이외에 화산동굴(火山洞窟)과 파식굴(波蝕窟) 등의 여러가지가 있다.용암동굴이라고도 불리어온 화산동굴은 화산 지대에서 ... ...
신금속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신소재 활용화에 따른 신규제품이 창출하는 시장규모는 약 10조2천억엔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세계 여러나라 특히 일본은 획기적인 신소재 개발을 위해 과학기술청 및 통산성이 막대한 연구투자를 하고 있다. 21세기를 향한 첨단산업기술 발전은 신소재의 개발과 활용여부에 달려 있다고 해도 ... ...
과학하는 마음가짐 열린 마음으로 자연을 보자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별들은 모두 과거의 별들을
보고
있는 셈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서로 다른 시간의 과거를
보고
있으며 그 속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시점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이 무한한 시공(時空) 속에 나는 존재하는 것일까. 철학을 생각하게 된 과학자는 이미 과학자로서 타락한 것이라는 한 ... ...
활발한 기술투자와 연구 한국의 유전자 산업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진단시약이 개발됨에 따라 이 분야의 시장규모는 급속히 성장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밖에 미생물을 이용한 무공해농약도 머지않아 실용화 가능성이 엿보인다. 미생물농약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등을 이용해 특정해충만을 선택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현재 이의 기업화를 위한 ... ...
IQ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IQ테스트는 언어능력이나 숫자 내지 기호 조작력(수학적인 것)을 지능의 주요 요소로
보고
있다. 이것은 학교교육에서 가르치기 좋은, 또는 그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우수한 사람들을 골라낼 수는 있어도 그 이상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다 ... ...
일본에서 개발된 전기충격요법 색약·색맹이 치료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전체적인 기능저하와 뇌중추의 여러가지 기능저하 요인이 색맹 색약의 원인이라
보고
있다.즉 색을 감각하는 뇌의 신경회로가 이어져 있지 않거나 접속 불량 상태에 있다켜 이 단절 상태나 접속 불량 상태를 JPJC 시스템에 의한 전기 충격으로 정상화시킨다는 것이다.지금까지 보지 못하던 색을 보게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백두산 일대는 새들의 낙원으로 남한지역에서는 희귀한 새들도 고준지대에 드물지 않게 살고 있다 동북아지역의 대표적인 새들의 낙원백두산 북위 41˚58' ... 조류」는 괄목할 만한 업적이다. 아마도 이 저서가 지금까지 알려진 백두산조류상의 종합적
보고
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
이전
882
883
884
885
886
887
888
889
8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