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조를 위한 모방
과학동아
l
199004
아이디어가
가능
하다.앞으로 모형제작은 대규모 레저시설과 연결되면서 산업화될
가능
성이 많다. 이처럼 모형제작이 산업화되고 질적으로 한단계 발전하려면 모형전문제작자가 대량으로 배출돼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전문대학에서도 모형이론에 관한 강의조차 개설되고 있지 못한 상태. 또한 ... ...
유전공학의 관심사 「무서운 생명력」
과학동아
l
199004
추진중이다.이처럼 잡초가 갖는 특성을 잘 연구하면 우리 인류에 크게 공헌할 수 있는
가능
성이 많다. 다만 이 분야에 관심이 많은 과학자, 전문가들의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생태계에서의 잡초가 우리에 주는 부정적인 영향만을 강조하다 보면 긍정적인 측면은 자칫 망각하기 쉬운데 이 기회에 ... ...
PART Ⅲ 지능형컴퓨터
과학동아
l
199004
로봇의 두뇌로 사용할 수 있다. 각종 외국어문서와 책을 자동으로 번역하는 것이
가능
해지고 지능형컴퓨터를 내장한 자동통역기를 휴대하면 강원도산골의 할머니가 소련에 여행가서 크레믈린궁전이 어디냐고 소련사람에게 물어볼 수 있다. 이밖에 기업의 경영전략 수립, 컴퓨터의 직접 교육, ... ...
PART 5 마이크로마우스와 미로게임
과학동아
l
199004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기다. 따라서 이 센서를 마우스에 사용하면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
해진다.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아마추어가 사용할만한 자이로스코프를 만드는 곳이 없다. 기술적으로도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다시 말해 이를 마우스에 장착시키는 기술이 확보돼 있지 않다. DC모터를 ... ...
중3병 고3병 대4병
과학동아
l
199004
한다. 이를 '가면성 우울'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박군의 예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가
가능
하다.또 대4병이라는 증후군은 중3·고3병과 무관하지 않다. 성인으로서 사회에 나갈때 어떻게 적응해야 되는지를 잘 모르는 것은 사회에 일관된 일류대학 지향의 가치관에 엄존하는 한 당연한 결과다. 성적을 ... ...
「한국의 스티브 좁스」 꿈꾸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004
어쩌면 이찬진과 같은 젊디젊은 천재들의 역할이 촉매로 작용한다는 전제 위에서
가능
한 것인지도 모른다. 더욱이 신제품개발에 인색한 국내 컴퓨터기업들의 생리상 부단한 소수 엘리트들의 자극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이 글에 소개한 사람들 외에도 새로운 한글코드체체인 ... ...
「은하집단」 4억광년 간격으로 존재
과학동아
l
199004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데이비박사는, 울타리의 말뚝이 둘러처진 것처럼 4억광년 간격으로 '은하광년'이 존재한다고 최근호 '네이처'지에 발표했다.현재의 은 ... 1억광년, 다음은 5억광년처럼 흩어져 있다고 알려졌다. 이번 관측은 이런 측면에서 종래의 이론을 뒤엎을
가능
성이 있다 ... ...
-4℃에서 물을 얼게 한다
과학동아
l
199004
내보내지 않고 내부에서 흡수한다. 따라서 프레온보다는 훨씬 우수한 냉매로 쓰일
가능
성이 크다.한박사팀은 순수한 단백질을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했다. 우선 이 박테리아를 배양기에 넣고 배양한 후 열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 박테리아만 선발했다. 이어 이 박테리아의 세포막을 ... ...
PART Ⅱ HDTV
과학동아
l
199004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하는 걸까. 관련자들 대부분은 "
가능
하다면 우리도 독자방식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만약에 외국에서 개발한 방식을 그대로 따른다면 기술종속은 물론 문화적종속이 심각히 우려된다는 것. HDTV는 위성방송일 수밖에 없으므로 국경이 따로 ... ...
유리를 둘러싼 한·일 공방
과학동아
l
199004
기록돼 있다. 그렇다면 그 당시의 유리는 서역계의 기술자에 의해 만들어졌을
가능
성이 크다. 아니면 서방으로부터의 수입품일 수도 있다. 아무튼 그것들은 모두 이집트에서 시작된 소다유리 계통의 유리일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에서 끊어졌던 납유리의 전통은 수(隋)의 개황(開皇, 581~600년) 연간에 ... ...
이전
883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