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 은하충돌사건의 단서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이들의 나이를 밝힘으로써 충돌사건이 일어났던 시기를 알아낼 수 있었다. 즉 M82가
바로
옆에 있던 은하 M81과 6억년 전에 충돌했으며, 충돌은 1억년 간 계속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거대 성단은 형태가 구형인 구상성단이다. 보통 구상성단은 수십억년 전 은하들이 형성되던 초기에 함께 ... ...
요일 이름에 담긴 음양오행과 점성술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로마의 신 유피테르(주피터)는 그리스 신 제우스의 ‘로마 버전’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바로
이 로마 신화에 제우스의 아버지였던 크로노스가 유피테르의 아버지 사투르누스로 다시 등장합니다.옛날 로마에서는 동지가 되면 큰 축제를 벌였는데 그 축제를 ‘사트르날리아’(사투르누스의 제사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JPL)의 화성탐사 로봇 소저너 패스화인더(Sojourner Pathfinder)와 1999년 6월에 시판되자마자
바로
품절된 일본 소니사의 애완견 로봇 아이보(AIBO)라 생각된다.소저너는 사람이 가본 적도 없는 화성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어떠한 상황이 일어날지를 대비해 미리 준비해서 일일이 프로그램을 할 수 없었다. ... ...
별자리 찾기 도시하늘이 더 쉽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찾기 쉬운 북두칠성이 제격이다. 초저녁 북동쪽하늘에 가장 먼저 모습을 드러내는 별이
바로
북두칠성이다. 국자 모양을 한 북두칠성의 손잡이를 이루는 세별을 이어 남동쪽으로 쭉 내려가면 봄철 별자리의 1등성 둘을 만날 수 있다.첫번째 별은 목동자리의 아크투루스다. 온 밤하늘에서 네번째 밝은 ... ...
②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개발사업단장 박종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있다. 독일에서 박사구두시험을 볼 때 시험장까지 수십권의 책을 잔뜩 들고 입실하기
바로
전까지 정독해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는 것. 그는 긴장감을 즐긴다고 말한다. 항상 긴장감과 압박감을 팽팽하게 갖추고 있어야 새로운 것을 추구하려는 열정과 의욕이 샘솟는다는 것이다.생각은 머리가 ... ...
③ 산업폐기물재활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이강인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자원 재활용을 잘한다는 일본 지역자치단체를 방문한 적이 있다.
바로
기타큐슈의 한 지역에 조성된 에코타운이었다. 이곳은 재활용기업들이 생활공간에 입주해 있는 친환경도시로 일본내의 다른 지역자치단체에도 모범이 될 정도라고 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우리 도시에서 ... ...
왜 인간게놈 연구에 통계학이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들어 찾아낸 열가지의 SNP 중에서 실제로 천식과 관련이 있는 SNP는 한가지일 수 있는데
바로
그 하나의 SNP만이 의미가 있는 것 이다. 따라서 일단 SNP를 찾아내어 질병과의 연관성 여부를 밝혀내서 치료에 활용하는 것이 현재의 큰 흐름이다.|기계학습|실험 또는 과거 자료에 대해 반복적이며 복잡한 ... ...
천당과 지옥을 오고간 프레온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발명가에게도 천당과 지옥은 존재한다. 처음에는 세기의 발명품이라는 찬사를 받다가 시간이 지나 악마의 작품으로 변하는 예가 적지 않기 때문 ... 발명가는 만족스럽지 않을 수밖에 없지만 발명품이 지구상에 태어나게 한 장본인이
바로
자신이므로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 ...
새로운 화성탐사선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임무를 띠고 있다. 화성 표면의 광물 성분 분석, 복사에너지 측정, 그리고 물 찾기가
바로
그것이다.특히 물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화성에서 물을 이용할 수 있느냐에 따라 유인 탐사가 가능할 것인지를 말해주기 때문이다. 오디세이에 장착돼 있는 감마선분광계(GRS)는 과학자들에게 화성 지각을 ... ...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인공위성을 제어하는 장치의움직임이 ${10}^{-7}$m 정도의 정확도가 얻어져야 한다.
바로
수십nm 규모가 증가 되는 것이다. 또다른 예로 먼 거리 사이에서 빛을 중계하는 광중계기나, 망막을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구동장치의 움직임에 마찬가지로 nm 규모의 정확도가 필요하다 ... ...
이전
883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