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76건 검색되었습니다.
잊을 만하면 제기되는 '변종 코로나' 등장...과학계 "아직 단정 일러"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분류했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임상적으로 의미가 없다. 하지만 이 변이는 7월 초 생명과학
학술
지 ‘셀’을 통해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력 또는 사람 사이의 전파력을 높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와 영국 셰필드대 의대 연구팀은 G, GR, GH 등 G ... ...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의 역설...곡물 가격 6배로 껑충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물, 토지 사용에 영향을 미쳐 곡물 가격이 지금보다 6배 이상 오를 수 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25일(현지시간) 소개했다. NET는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기후변화를 막을 가장 강력한 후보 기술 중 하나로 꼽혀 왔다. 숲을 울창하게 가꾸는 방안부터 이산화탄소를 잘 빨아들이는 나무를 ... ...
125살 맞은 X선, 지금도 코로나19 대응 최전선에서 맹활약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CT 촬영을 통해 코로나19 환자를 97%의 정확도로 판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방사선학’에 발표했다. X선 진단장비는 탄생한지 100년이 넘었지만 시장은 여전히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마켓앤마켓츠에 따르면 세계 의료용 X선 진단기기 시장은 지난해 28억 달러(약3조3194억원 ... ...
어린이들 '숨은 전파자' 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소아과학교실 교수 등 국내 22개 병원이 의료진 공동연구팀은 연구결과를 이달 28일 국제
학술
지 ‘미국의학회지(JAMA) 소아과’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월 18일부터 3월 31일까지 22개 병원에 입원한 코로나19 어린이와 청소년 환자 91명을 분석했다. 이들의 평균 나이는 11세였다. 이들 중 57명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립선 줄기세포의 분화능력 어떻게 조절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27일 알록달록한 도마뱀처럼 보이는 그림을 표지로 실었다. 이 그림의 정체는 포유류의 젖을 생산하고 분비하는 ‘유선’이다. 분비물을 만들어내는 상피세포 집단인 선조직에 속한다. 전립선도 대표적인 선 조직이다. 이런 선 조직의 상피는 여러 세포가 층을 쌓은 형태를 ... ...
몸속 아픈 곳 찾아가 약 주고 스르르 녹는 초소형 캡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29
몸 속에 약물을 1~2주동안 전달한 후 6개월 이내 분해되는 약물 전달체를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온라인판 28일자에 발표했다. 약물의 경구 투여나 주사형 방식은 몸 전체에 약물이 퍼진다는 문제가 있다. 알약을 이용한 경구 투여방식의 경우 몸 속에 필요한 부위에 약 5 ... ...
[코로나19가 바꾼 풍경] KAIST 개교 이래 첫 온라인 졸업식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금지하는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에 따라 본원 대강당과 창의학습관 터민홀,
학술
문화관 정근모 콘퍼런스홀 3곳으로 분산해야 했다. 졸업생들은 KAIST 내 세 곳으로 나뉘어 졸업식을 온라인으로 지켜봐야만 했다. 정근모컨퍼런스홀에서 졸업생들이 학위수여식을 지켜보고 있다. KAIST ... ...
지구의 풍부한 물, 태초부터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분석한 결과 물이 생겨나는 데 필요한 수소가 풍부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28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콘드라이트 운석은 초기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함께 만들어진 운석이다. 이후 열에 노출되지 않아 초기 태양계의 비밀을 그대로 갖고 있다. 이중 태양과 가까운 곳에서 만들어진 ... ...
머리카락보다 가는 네 발로 걷는 초소형 로봇 부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5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길이 40㎛ 크기의 로봇을 개발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27일자에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아주 작은 크기의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려고 노력해왔다. 인체의 혈관과 세포를 돌아다니며 생물학적 환경을 탐사하는 로봇 등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 ...
꿈의 양자컴퓨터, 우주방사선 때문에 지하골방 신세 전락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방사선량으로도 양자컴퓨터의 성능을 제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26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양자컴퓨터는 정보의 기본 단위로 ‘양자비트(큐비트)’를 쓴다. 디지털 컴퓨터는 0과 1을 구분한 값을 정보 기본 단위인 비트로 활용한다. 큐비트는 양자역학의 ‘중첩’ 현상을 ... ...
이전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
8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