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배설물 때문에 멸종하는 산호?
과학동아
l
200207
PNAS) 6월 17일자에 발표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연구팀이 분리한 박테리아는
사람
의 대장에 사는 종류였다.연구팀은 카리브해에서 서식하는 엘크혼(Acropora palmata) 산호를 조사했다. 이 산호는 바다 속에서 다른 동식물이 살아갈 공간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지난 10년 동안 카리브해에서만 90%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07
나노기술의 실현에 회의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노기술이
사람
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지 불과 몇년도 되지 않아 투자가 급증하는 까닭은 무엇일까.2002년 3월에 유럽의 나노기술계 평가 기관인 시엠피-시엔티피카는 나노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을 분석해서 ‘나노기술 기회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07
있는 일은 반드시 잘못된다”는 명언이 바로 머피의 법칙이다. 내가 선 줄은 항상 다른
사람
이 선 줄보다 늦게 줄어들거나, 우연히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를 듣고 우산을 챙겨 외출하면 하루종일 햇빛이 쨍쨍 내리쬔다.그러나 과학자들의 연구를 보면 이같은 일의 대부분은 자신의 운수와 무관하다.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07
6월호에 발표해 화제를 모았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은 위암의 원인균으로 우리나라
사람
에게 흔하다.그동안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이 pH 0.78 정도의 위산이 쏟아지는 위속에서 어떻게 살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었다. 그런데 오교수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은 ... ...
내 휴대폰 외국에서도 잘 터진다
과학동아
l
200207
“태국, 브라질 등 연말까지 13개국으로 자동로밍 서비스가 확대되면 국내에서 출국하는
사람
의 80%가 국제 자동로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국제 자동로밍 서비스 이용방법국제 자동로밍 서비스를 받기는 어렵지 않다. 처음 이용할 때는 이동통신업체의 로밍센터를 방문하는 것이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07
남극은 지구 육지면적의 9.2%를 차지하는 거대 대륙이다. 지구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고
사람
들이 주로 온대지방에 모여 살면서, 지도에서 실제보다 작게 나와서 그렇지 결코 작지 않다. 유럽이나 오스트레일리아 대륙보다 크고 아프리카 대륙의 절반이 넘는다. 그런데 얼음 아래에 있는 해안선은 ... ...
말랑말랑한 떡을 냉동보관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07
있음은 물론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어떤 의미까지 안고 있어 예나 지금이나 많은
사람
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음식 중 하나다. 쌀가루로 부드럽고도 쫄깃쫄깃한 떡을 만들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일까.결정 구조 얽히면서 끈기 늘어나쌀의 주성분은 녹말(전분)이다. 녹말은 단일물질로 구성된 것이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07
위해 개발될 것으로 생각되는 나노 전자소자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인공코가
사람
처럼 각종 냄새를 감지하려면, 인체후각 신경계에 대응하는 인공신경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공감각기관이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좀더 시간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컴퓨터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07
저 밝은 별은 뭘까. 밤하늘에 관심없는
사람
도 도심 속에서 꿋꿋하게 빛나는 밝은 별을 만나면 품는 의문이다. 요즘 서쪽하늘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빛나는 별 ... 있다.날이 갈수록 천체망원경에서 크기와 모양이 달라지는 금성의 모습은 끈기 있는
사람
들에게 좋은 흥밋거리가 될 것이다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07
경우 정지 화상에 필요한 화소수보다 적어도 된다. 빠르게 움직이는 동영상의 특성상
사람
의 눈으로 화질을 쉽게 구분하기 힘든 탓이 크다. 게다가 빠르게 움직이는 동영상의 화소수를 정지 화상 수준으로 높인다면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훨씬 늘어나 복잡해지는 것도 한가지 이유다.또한 대부분 ... ...
이전
885
886
887
888
889
890
891
892
8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