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d라이브러리
"
가설
"(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등가속도운동 법칙을 고안할 수 있었다.사실 갈릴레오가 등가속도운동에 대한 자신의
가설
을 이들의 수학적인 연구로부터 갖고 왔는지 아닌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갈릴레오가 평균속도정리를 확실히 알고 있었다는 점이다.어떤 학자들은 갈릴레오의 연구 노트를 들여다보면 ... ...
라부아지에 산소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믿을만하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적어도 산화 전후에 같은 양의 산소가 출입한다는
가설
의 토대는 한층 튼튼해졌다.라부아지에의 실험은 메이오, 헤일스, 프리스틀리와 같은 기체화학자들의 실험과 획기적으로 다르다기보다는 이들의 실험을 세련되게 다듬었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적당한 ... ...
창의세상 -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가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인물로 선정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생일이다. 특히 올해는 아인슈타인이 3월 광양자
가설
, 5월 브라운 운동, 6월 특수상대성이론이라는 세가지 획기적 이론을 발표해 과학사에서 ‘기적의 해’라 불리는 1905년에서 꼭 100년 되는 해이다. 유태국립대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아인슈타인 자료실을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순간 생물이 멸종할 것이라고도 한다. 공룡의 멸종을 지자기 역전으로 설명하는
가설
도 있다.김인수 교수는 “당장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지자기 역전이 곧 닥쳐온다고 하더라도 역전 과정이 마무리되기까지 최소 2000년은 걸릴 것이라는 견해가 아직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김인수 교수는 ... ...
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기울었다면 계절차가 커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지진으로 자전축이 달라졌을 것이라는
가설
도 역시 가능성은 있지만 그 크기는 지구환경에 거의 변화를 주지 못할 정도로 작은 양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이번 지진과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20세기 들어 4회 정도 일어났으나, 그 때마다 지구에 ... ...
메탄비 내리는 오렌지빛 원시지구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타이탄 대기에 번개가 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원시지구의 생명 탄생
가설
’은 좀더 힘을 받을 것이다. 현재 확인된 소리는 호이겐스호가 떨어질 때 대기와 부딪치며 들린 ‘쉬이익’하는 마찰음이다.당초 호이겐스호는 착륙한 지 몇 분 만에 운명을 마칠 것으로 생각했다.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가설
. 조혈줄기세포 자체가 원래 모든 장기로 분화하는 능력이 있다면 만능분화
가설
과 같은 의미가 될 수 있다.성체줄기세포 연구의 역사100여년 전 몇몇 의사들은 빈혈이나 백혈병 환자에게 골수를 먹였다. 당시에도 골수안에 적혈구와 백혈구를 만들어낼 조혈줄기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 ...
3. 3·5·6월 3연타석 홈런치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역할을 담당했다.원자의 존재 수식으로 증명기적의 해를 장식한 두 번째 논문은 광양자
가설
논문을 발표하고 두 달이 지난 1905년 5월에 발표됐다. 이번에는 원자의 존재가 화두였다.원자론 역시 빛의 본성만큼이나 오랫동안 과학자들의 입에 오르내리던 문제였다. 아무도 원자를 직접 관찰하거나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들어오는 배를 버리고 새로운 배로 갈아탔다. 그는 절대공간과 에테르라는 고전물리학의
가설
들이 빛의 속도나 전자기유도와 같은 현상에서 모순을 낳고 있음을 인식한 뒤 시간의 동시성을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또 절대좌표계를 부정하는 대신 물리량 사이의 관계, 즉 물리 ... ...
100억배 더 밝은 4세대로 탈바꿈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떨어져 나간 뒤 다른 곳에 달라붙어 세균이 침입했다는 신호를 보내지 않을까 하는
가설
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또 다른 창의연구단인 유전자손상신호전달연구단 조윤제 교수(포항공대 생명과학과)는 암 등 세포 손상과 관련된 단백질의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조 교수는 지난해 8월 19일 과학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