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9. 부산의 광안대교 현수교의 곡선은 현수선일까,포물선일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프리먼의 증명은 다른 외부의 변수들을 고려하지 않고 아래로 작용하는 힘만을 고려해 계산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현수교 케이블이 그리는 곡선의 함수는 다를 지도 몰라요. 광안대교 속에도 이렇게 많은 수학이 있다니 정말 신기하네요. 더욱 광안대교에 가고 싶어졌어요! 여러분은 어느 다리를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100km로 확대해 북극해의 해빙 밀집 지역을 촬영하고, 이를 통해 해빙의 넓이를 계산한다. 이렇게 얻은 데이터는 아라온호가 해빙을 깨고 지나갈 수 있을지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해빙이 밀집돼 있거나 해빙이 겹쳐져 만들어진 빙맥(ice ridge) 등 위험 지역을 미리 알릴 수도 있다. 빙맥은 두께가 ...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점에 착안해 이 같은 구조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수학적 알고리즘이 필요한지 계산했다. 연구에 참여한 훌리안 카트라이트 CSIC 연구원은 “모든 꿀벌은 기본적으로 (벌집을 만들 때) 알고리즘을 따른다”며 “각 꿀벌이 동일한 규칙대로 집을 지을 때 전체 패턴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9화. 어느 수학자의 덕질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동전을 던지거나 주사위를 굴리는 찍기를 벗어나, 각종 수식으로 무장한 모형을 통해 계산합니다. 그리고 이 모형들에는 각 팀의 역대 전적과 상대전적, 선수의 데이터, 리그 일정 등등 온갖 종류의 정보들을 입력해서 예측하죠. 물론 이렇게 해도 항상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와서 ‘축구공은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알아낸 지표 변화 데이터는 동토층 아래에 얼어있던 물과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계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실제로 연구팀은 2018년 5월과 6월 촬영한 아리랑 5호 영상을 이용해 영구동토층인 알래스카 배로우 지역 중앙에 고도 변화가 생겼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언 땅이 녹아 지표가 가라앉은, ...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그의 도전은 계속됐다. 동선상 다른 멤버 뒤에 가려지는 멤버를 제외하고 안무 일치율을 계산하도록 규칙을 수정했고, 가장 키가 큰 멤버와 가장 키가 작은 멤버의 키 차이를 보상값으로 적용해 키 차이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는 등 알고리즘을 더 정교하게 업그레이드했다. 그는 “앞으로도 ... ...
- [1회] 수학미식회, 데이터 맛집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0년 09호
- 200m×200m 단위의 2만 3000여 개의 격자로 나누고, 범죄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지역과 시간을 계산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2시간마다 범죄 발생 위험 지역을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해 6주 동안 인천의 16개 지역에 경찰관과 순찰차를 집중적으로 배치했습니다.그 결과 112 신고 건수가 2018년 같은 기간 동안 ... ...
- [인터뷰] “매일 머릿속으로 방정식 풀어요!”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대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송 대표님에 따르면 보험은 인간의 생로병사를 수학적으로 계산하고, 예측해서 적절한 비용을 받고 어려움이 생겼을 때 도움을 주는 경제제도입니다. 수학과 자연이 움직이는 원리만큼이나 책 읽기를 통해 인간의 삶에 관심이 많았던 송 대표님에게 보험은 딱 맞는 ...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관측할 수 있는 좋은 망원경이 없었던 18세기, 라플라스는 논리적인 사고와 수학적인 계산만으로 별과 행성이 탄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성운 모형’을 제시합니다. 성운 모형이 발전해 성운 가설이 됐습니다. 라플라스의 성운 모형은 다른 사람들이 주장한 것보다 원시행성계 원반과 그안에서 ...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무인기가 촬영한 영상에서 자동으로 개체수를 계산해내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펭귄의 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짧은 시간에 개체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남극 생태계를 이해하는 열쇠, 식물플랑크톤펭귄 서식지는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