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부"(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3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시기상조. 하지만 유명한 그래핀을 전자소자로 활용할 가능성이 생기고, 표면과 내부의 전기적 특성이 다른 기묘한 재료(위상절연체)도 만들 수 있어. 꿈만 꾸던 상온초전도체가 가능할지도.편 : 초전도? 52쪽 만화에서처럼 히어로가 탄생하는? (반짝)최 : (설마 그것만 이해했냐.)2 편 : 음악에 대해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많은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우리가 측정하는 것은 저항인데, 보통 저항을 측정하면 물질 내부의 저항이 압도적으로 크고 표면 저항은 미미하다. 그래서 두께를 줄여서 표면에서 나타나는 저항의 비중을 높게 만든 것이다. 이렇게 얇게 만든 샘플에 큰 자기장을 걸면 자기장에 영향을 받은 전자의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관찰했다(134쪽 사진). 연구팀은 이를 몸통의 정점이 되는 등뼈라고 추정했다. 또, 장 등 내부 기관의 구조가 척추동물과 비슷하며 이빨도 척추동물의 일종인 칠성장어와 비슷하기 때문에, 툴리 괴물이 척추동물이라고 주장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빅토리아 맥코이 연구원은 “현대의 친척 동물들과는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작은 분자로만 존재하는 ETE-S가 장미 안에서 고분자로 결합할 수 있었던 것 역시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화학 반응 덕분이었다.이런 ‘전기 식물(e-Plant)’이 처음 등장한 것은 불과 반년 전이다. 지난해 10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화학공학과 마이클 스트라노 교수팀은 폭탄이나 지뢰에 주로 쓰이는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몸의 내부 상태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진단하는 것처럼, 식물에 상처를 내지 않고 내부의 생리적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이라며 “진단 신호가 되는 이미지 정보를 데이터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일생동안 식물이 필요로 하는 생육환경을 원활하게 제공할 것”라고 말했다.연구팀은 일 차 ... ...
- 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있었다. 양자물질은 2017년 현재 양자물리학의 최전선이다. 표면에만 전류가 흐르고 내부는 절연체인 ‘위상절연체’, 우주론의 웜홀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는 ‘바일 준금속’ 등이 발견되면서 새로운 입자를 예측하고 발견하는 게임이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한창 진행 중이다. 90년 전인 1927년 이후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종류의 색깔이 있는 상대론적 입자다. 빨간색 바일입자와 파란색 바일 입자가 있다. 고체 내부에는 파란 바일 입자 개수와 빨간 바일입자 개수가 동일해야 한다.디랙 입자를 다룰 때처럼, 상대론적 입자인 바일 입자를 수학적으로 기술하려면 파동벡터 공간에서 생각해야 한다. 파란색 바일 입자와 ... ...
- [과학뉴스] 우주선 폭발 막는 광섬유 신경망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손상은 폭발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기존에는 초음파와 방사선으로 내부를 일일이 촬영했지만, 영상신호를 얻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기면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웠다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나선형 구조90°, 180°, 270°, 360° 등 다양한 각도로 휘어진 형태다. HSB 터닝 토르소의 내부 구조를 보면 위로 올라가면서 단면이 조금씩 틀어져 있다.바람에 강한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바람에 강한 건물은 어떻게 생겼을까. 일본 도쿄폴리테크닉대 유키오 타무라 교수(국제풍공학회 전 회장)는 고층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때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반면 위상절연체는 전류가 껍질에서만 흐른다. 내부는 절연체, 껍질은 금속인 양자물질이 바로 위상절연체다. 이제 이런 질문을 할 수 있다. 위상절연체의 껍질에서 움직이는 입자는 디랙 입자일까. 물론 그렇다! 3차원 디랙 입자를 깨뜨려서 만든 위상절연체는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