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목표는 단 하나, 완주였다.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포기만 하지 말자는 것이었다. 그런데
대
회 직전 중요한 사실을 알게 됐다. 시간제한이다. 오랜 시간 도로를 쓸 수 없는 시내 마라톤 특성상 1시간 30분 안에 들어와야 완주로 인정됐다. 순간 머릿속이 복잡해졌다.다시 한번 장비의 힘을 빌리기로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다른 탐사 로버인 ‘미네르바-Ⅱ2’도 2019년 말에 배치될 예정입니다. 남은 임무가 계획
대
로 진행된다면, 하야부사2는 적어도 1g의 류구 샘플을 가지고 2019년 11월 12일 류구를 떠난 뒤 2020년 말 지구로 귀환하게 될 것입니다 ... ...
장교식 건국
대
입학처장 - “기본기에 충실해야 유리”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모집하며, 한 학과를 3개 군에서 동시에 선발하지는 않는다. 장 입학처장은 “같은 단과
대
학에 소속된 학과여도 모집 군이 다를 수 있는 만큼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가 어느 군에 속하는지 미리 확인해야 한다”며 “가령 자연계열 중 ‘KU 융합과학기술원’은 다군으로만 선발한다”고 ... ...
‘찰리와 초콜릿 공장’으로 보는 P
대
NP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7개의 밀레니엄 문제 중 벌써 2개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해의 매끄러움 유무와 P
대
NP 문제를 초콜릿으로 살펴봤군요. 이쯤 되면 초콜릿이 아니라 ‘수콜릿’이라고 불러야겠습니다 ... ...
[TECH]大화면 전성시
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난관이 몇 가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디스플레이다. 화면을 접어도 모든 기능을 그
대
로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내구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스마트폰을 접으면 접히는 부분에 힘이 가해질 수밖에 없고, 이를 디스플레이가 견뎌낼 수 있어야 한다.폴더블폰 디스플레이 후보로는 폴리이미드(PI)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또 “(모사 미트, 멤피스 미트 같은) 해외 기업들은 현재 실험실 수준을 넘어
대
량 생산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까지 도달했다”며 “이르면 2021년, 늦어도 2025년에는 시중에서 배양육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전설의 초콜릿 발명가의 비밀 웡카의 초콜릿 수학 공장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세계 최
대
, 최고의 초콜릿 공장 ‘웡카의 공장’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이곳은 지난 20년간 누구에게도 공개한 적이 없는 특별한 공장입니다. 저 윌리 웡카가 개발한 초콜릿 세상에서 ... 부탁해Part4. 윌리 웡카의 초코초코 퀴즈 쇼Part5. ‘찰리와 초콜릿 공장’으로 보는 P
대
NP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적혀 있다.조인하미국 웨슬리언
대
에서 물리학과 화학을 전공했다. 현재 캘리포니아 공
대
프랜시스 아놀드 교슈의 연구실에서 생화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재직 ... ...
이원희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교장 - “과학과 인문학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인재”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 교장은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이공계 전공에
대
한 목표가 뚜렷하고 이를 위해 노력하려는 학생들을 기다리고 있다”며 “본교 입학은 어떤 의미에서는 혜택을 받는 것인 만큼, 자신의 역량을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마음가짐을 가진 학생들이 지원하 기를 바란다”고 ... ...
[과학뉴스] 여드름균만 노리는 백신개발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했다.춘 밍 후앙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
대
(UC샌디에이고) 의
대
피부과 교수팀은 2011년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이 분비하는 독소 (CAMP·Christie-Atkins-Munch-Petersen)가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최초로 입증했다. 이번에 연구팀은 CAMP의 활성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