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마찬가지
본모습
본색
본성
본심
정체
d라이브러리
"
동일
"(으)로 총 2,189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흡입’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그런데 호쿠날린 패치는 기존의 천식 치료제와
동일
한 툴로부테롤 약물을 이용하면서도, 파스를 붙이고 난 4시간 뒤부터 약물이 서서히 방출되고 다시 그로부터 4시간 뒤에 약효가 최대가 되도록 설계됐다. 환자가 저녁 8시에 파스를 붙이고 잠자리에 들면 새벽 ... ...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그를 정사원으로 채용했다.사실 IBM은 예전에 이와 비슷한 암호를 개발했었다. 이 암호는
동일
한 원문을 사용해도 암호문이 조금씩 변하게 설계됐는데 덧셈구조를 상당히 유지해주는 암호였다. 앞의 예를 사용하면, h(x 강아지)=9.2, h(x야옹이)=8.1일 경우, 때에 따라 h(x강아지-x야옹이)이 1.3으로 나올 ... ...
하루를 25시간으로 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시간(24+α)으로 사용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심리적 의미의 시간은 물리적으로
동일
한 시간이 주어졌다 하더라도 사람에 따라 시간을 길게 또는 짧게 느끼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상대적 시간은 똑같이 주어진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사람에 따라 ‘시간이 가치가 있다’ 또는 ‘시간이 가치가 ... ...
미녀가 드문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두 눈 사이의 거리가 전체 얼굴 크기에서 일정 비율 범위에 들어야 한다는 것.연구자들은
동일
한 눈과 입술을 갖고 얼굴에서 배치를 달리한 합성사진을 만든 뒤 대학생들에게 보여주며 미녀를 꼽게 했다. 그 결과 눈과 입 사이의 거리가 얼굴 길이의 36%일 때, 두 눈동자 사이 거리가 얼굴 폭의 46%일 때 ... ...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눈을 가진 덕분에 자신의 앞에 있는 물체를 입체로 인식한다. 두 눈 사이에 간격이 있어
동일
한 사물을 바라봐도 똑같은 형태로 인식하지 않는 것이다. 만에 하나 한 눈을 감고 다른 한쪽 눈으로만 보면 거리도 부피도 제대로 알기 힘들다. 이 카메라도 사람 눈처럼 ‘눈’이 두 개다. 하나의 몸체에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하나의 수정란이 2세포기 때 둘로 나뉘어 각각 발생했으므로 유전적으로는 완벽하게
동일
한 사람이다. 그러나 그들의 지문은 서로 다르다. 왜 그럴까?지문은 태아기 엄마의 뱃속에서 10주 후부터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아기에 손가락으로 양막을 터치하는 과정에서 특유의 무늬가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기록돼 있습니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수학이 발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원 2개를
동일
한 크기로 12조각 낸 뒤 그림과 같이 사각형 모양으로 잘라 붙인다. 만들어진 사각형의 넓이에 $\frac{1}{2}$을 하면 원의 넓이가 나온다. 이 방법으로 원의 넓이를 구하면 실제값과 차이가 있다. 하지만 원을 무한히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상황에 사람이 쉽게 적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사례4. 변화 알아채지 못하는 둔한 몸
동일
하지만 딱 한 부분만 확연하게 다른 두 그림이 있다. 컴퓨터 화면으로 이 두 그림을 연속해서 보여줄 때, 그림이 바뀌는 사이에 잠깐 동안 빈 화면을 보여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두 그림에 차이가 있다는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일정시간 동안 한 음을 지속해서 낼 수 있다. 그래서 해금은 피리나 대금 같은 관악기와
동일
한 가락을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가야금이나 거문고 같은 일반적인 현악기는 줄을 뜯거나 튕기는 순간에만 소리를 낼 수 있어 음의 지속시간이 관악기보다 짧다. 가야금이나 거문고는 가락을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잣대로 평가할 것인지는 한 번쯤 생각해볼 만한 주제다. 서양 과학을 바라보는 시각과
동일
한 기준으로 한의학을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 과학이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이라고 할 때 그 밑바탕에서 철학과 긴밀하게 관련된다. 따라서 특정 시기의 과학의 실체를 파악할 때는 그 시대의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