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적
평수
d라이브러리
"
땅크기
"(으)로 총 1,20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설날 즈음 가족들이 모여 윷놀이며 연날리기,팽이치기를 즐기는 모습이 흔하다.그런데 우리의 전통 놀이 속에 흥미진진한 과학이 숨어있다.원리를 알고 놀이에 빠져들면 즐거움이 한층 더할 것이다.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다양한 놀이문화를 통해 힘든 일에서 벗어나 즐거운 여가시간을 보냈다. 온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고대 그리스인은 속이 텅 빈 거대한 공에 태양과 별이 붙어있고 그 가운데 떠 있는 편평한 원반모양의 세계에 사람이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지금까지도 적지 않은 사람들이 감각적으로는 이러한 생각을 갖고 있으며 그들 중 상당수는 ‘지구는 둥근가’라는 질문에 쉽게 답을 내놓지 못한다.지구 ... ...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손을 비비면 손바닥 사이의 마찰로 열이 생긴다.자동차가 급정거할 때 길바닥에 흉하게 만들어지는 바퀴 자국도 마찰에 의한 것이다.마찰의 본질은 무엇일까.그리고 마찰이 없어진다면 어떤 세상이 될까.'마찰'이라는 말에 대한 느낌은 그리 긍정적이지 못하다. “마찰 때문에 에너지를 잃어버린다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한국인 머리뼈는 앞뒤 폭이 좁고 위아래 길이가 긴 것이 특징이다.그렇다면 이런 머리뼈를 갖춘 옛사람이 한국인의 조상일 것이다.한반도에 살던 신석기시대의 사람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먼옛날 한반도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어떻게 생겼을까. 키가 컸을까 작았을까. 얼굴은 둥그스름했을까 네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아무 생각 없는 듯 단순해 보이기만 하는 동물들이 실제로는 수많은 속임수를 펼치며 살아가고 있다.낚시꾼처럼 그럴듯한 미끼를 던져 먹이를 낚아채기도 하고,자식을 속여 따돌린 후 혼자 배를 채우는 비정한 일도 있다.약육강식의 혹독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동물들이 개발해온 다양한 속임 ... ...
Ⅰ. 고고학/2만년전 후기 구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충북 공주 석장리에 한국인의 첫 조상이 사용한 것으로 추측되는 석기 좀돌날몸돌이 발견됐다.후기 구석기시대로 알려진 2만여년 전의 일이다.좀돌날몸돌은 이후 중석기 시대와 신석기시대를 거치며 점차 개량돼 나갔다.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는 사람들이 언제부터 살아왔으며, 이들의 생활모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공룡 생김새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저마다 특색이 있다.어떤 것은 목과 꼬리가 길고,어떤 것은 온몸에 갑옷을 두르고 있다.네발로 걷는 것도 있고,두발로 걷는 것도 있다.그런데 이들을 모두 공룡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뭘까.또 이들은 어떤 족보를 가지고 있을까.언뜻 보면 지구상에 사는 생명체는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생물학지구상에 살고있는 생물체들과 그들에 의해 만들어진 구조물(인간을 포함해서)들은 거의 모두 대칭을 이루고 있다. 우리는 대칭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균형 잡힌 대칭구조에 대해 아름다움을 느끼는지 모른다. 이러한 생물의 대칭성은 틀림없는 진화의 산물이다. 그들이 처하고 있는 환경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구는 태어나면서부터 지금까지 많은 변화를 겪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 오랜 역사를 생각하면 1백년이 채 안 되는 인간의 삶은 순간에 지나지 않는다. 푸른 행성 지구에 인류가 주인 행세를 해온 몇백만년은 지구의 나이 46억년에 비하면 잠깐일 뿐이다.둥근 모습에 자전과 공전을 하며 움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금은 이름이 잊혔지만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이 있었다. 1985년에 설립됐다가 198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사과정으로 통합된 대학이다.원래 이 대학의 설립을 추진했던 곳은 노동부.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은 공고를 졸업한 산업계의 기능공들이 계속해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산업기술대학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