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밀도와 무게가 엄청나게 높은 중성자별이 된다. 천문학자 안토니 휴이시는 전파
망원경
을 이용해 1967년 게성운에서 최초의 중성자별을 발견한다.1906년 5월 13일마리 퀴리, 소르본대학교최초의 여성 교수로 임명.퀴리 부부는 1903년 라듐 발견에 대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받는다. 1906년 남편이 마차 ... ...
태초에 태어난 아기 은하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발견됐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다니엘 스탁 교수팀은 하와이 마우나케아의 ‘켁II’
망원경
을 이용해 우주가 탄생한지 5억년 뒤에 태어난 약 132억년 전의 은하 2개를 발견했다고 ‘천체물리학지’ 7월 1일자에 발표했다. 이번에 발견한 은하들은 태초에 태어난 셈이다.연구팀은 ‘중력렌즈’ 현상을 ... ...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미국의 천문학자 P 로웰이 1894년에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
망원경
, 61cm · 46cm의 굴절
망원경
및 61cm 슈미트카메라 등의 광학관측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곡선 벨기에의 수학자 P F 베르하르스트에 의해 1838년에 제안되었다 ... ...
북두칠성 미자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미자르A도 이중성이라는 사실을 의미했다.두 별은 너무 가까워
망원경
으로는 분리해 볼 수 없고, 별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해야만 이중성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이중성을 ‘분광 이중성’이라고 한다. 미자르A는 분광기로 발견한 최초의 이중성이다.미자르B는 190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성운 · 성단)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성단은 지름 5cm의
망원경
으로 관측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그러므로 성운 · 성단을 표시할 때는 메시에의 이름에서 M과 그 목록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서 유전자DNA ...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 우주
망원경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허블우주
망원경
의 뒤를 이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 (JWST)의 모형이 공개됐다. 2013년 6월에 발사될 JWST는 허블우주
망원경
보다 훨씬 큰 반사경을 갖고 있어 우주를 더 자세히 관측할 수 있다. ...
여인의 초상 제4화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일은 연례행사였다. 전투복까지 입은 래빗은 이등병의 어깨를 아버지처럼 토닥거렸고 또
망원경
을 통해 북녘땅을 살펴보기도 했다. 내 시선은 그의 거무스름한 턱에 머물렀다. 이 일이 래빗의 병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도 있다. 물론 전속 코디네이터가 있겠지만 산적한 업무를 해결하느라 며칠 ... ...
처녀 상어, 새끼 낳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모두 다르므로 관측대상의 거리에 따라 알맞은 접안경을 선택하여 관측한다천체
망원경
의 경통 앞쪽 끝에 구경 전체를 가리도록 장치한 대형 프리즘 꼭지각은 10° 이하의 것이 많고 1° 정도의 것도 있다분광사진기의 슬릿과 콜리메이터를 생략하여 프리즘과 사진기만으로 만든 것에 해당한다한번에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16% 큰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 그때까지 행성인 줄 알았다. 스위스 천문학자들이 ESO 거대
망원경
(VLT)으로 OGLE-TR-122b를 자세히 살펴봤을 때 정체가 드러났다. 질량이 목성의 96배로 알려지면서 별임이 밝혀졌다. 그것도 우주에서 가장 작은 별임이. 중심에서 수소핵융합이 일어날 수 있는 한계(목성 ... ...
거미줄 유전자의 비밀이 풀리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있다 또한 식물 · 미생물계에도 존재한다 뉴튼이 오목반사거울을 이용하여 고안한 반사
망원경
의 한 형식 경사진 평면의 부경(副鏡)을 설치하여 초점을 경통(鏡筒)의 측면으로 도입하는 방식이다 방정식 f(x)=0의 해를 근사적으로 구하는 방법의 하나 물체의 운동에 관한 뉴튼의 기본적 법칙 제1법칙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