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적확
정밀
명쾌
명석
명료함
명백
d라이브러리
"
명확
"(으)로 총 1,0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절멸시킨 충돌소행성 크기에 새 가설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달행성연구소의 연구진이 발표했다.크레이터의 크기가
명확
하지 않은 이유는 충돌흔적이 1천m 이상 지하에 매몰돼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그 주변 7천개소의 중력데이터를 근거로 지금까지 외연이라 여겨졌던 바깥쪽에 지름 3백㎞나 되는 제 4의 원이 존재한다는 ... ...
(2) 판구조론 통해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흡수되는 약 50억년 후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주장한다.앞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해
명확
한 해답을 얻기 위해서는 지질학자들, 특히 지구내부를 연구하는 지구물리학자들의 역할이 크게 기대된다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강도는 0.1㎽/㎠로 법규규제에 대해서는 충분한 배려를 하고 있다. 다만 안전기준은
명확
하지만 생태계의 영향에 관해 검토가 아직 충분치 않다.우주발전은 태양에너지 이외에 원자력에너지도 이용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핵분열형 원자력발전은 풍부한 자원량과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고 있고,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등을 대상으로 가족구성원의 백혈구에서 DNA를 추출하여 해석하는 것에 의해 변이를
명확
하게 할 수가 있다. 변이를 가진 사람은 암에 걸리기 아주 쉽다는 말이 된다. [4] 인류의 시조 '아프리카 이브설' 맞는가'이브가설'은 1987년에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교의 알란 윌슨박사 연구진이 제창했다. ... ...
형태 색깔 등 분야별로 전문처리 네트워크 구성해 바깥세계 이해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존 카스 팀의 올빼미원숭이연구와 런던대 세미르제키의 원숭이 연구 등에서 과학적으로
명확
해졌다. 제키의 연구는 이들 영역이 각기 독자의 시각과제를 수행하도록 전문화돼 있다는 것을 알아내 뇌가 어떻게 시각상을 형성하는가를 이해했다는 점에서 시각 연구의 전환점이 되었다.제키는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독자들은 펄쩍 뛸 것이다. 상대성이론은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엉뚱한 본질에 대한
명확
한 해답을 제시한다.이를 쉽게 설명해주는 다음 예를 들자. 어떤 미인 선발대회에서 가장 뛰어난 미인이 선발되었다고 하자. 그런데 이렇게 선발된 미인이 관객에게는 전혀 아름답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것이라는 판단도 가능하다.최근의 여러 이론들은 어디까지나 초기의 우주에 대해서 불
명확
한 관계 때문에 도입된 것이며 초기 이후의 우주는 어디까지나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한 프리드만-로버트슨-워커의 팽창우주론이 자명하게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 ...
군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격파하고 이후 바다의 왕자로 군림하게 됐다.17세기에 들어서는 군함과 상선이 보다
명확
하게 구분되기 시작했으며 19세기에 이르러 동력선이 개발되면서 군함은 크게 발전하게 됐다. 또한 철이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면서 철선과 강선이 등장했고 20세기에 들어서자 세계 열강들은 해군을 확장해 ... ...
미사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장거리, 40km 이하면 단거리, 나머지는 중거리로 분류하지만 이것도 나라마다 다르며
명확
한 분류 기준은 없다. 미사일의 유도원리■관성유도관성항법의 원리는 (그림 3)에 요약돼 있다. 먼저 3개의 가속도 측정기에서 나온 xyz-축 방향의 가속도 정보를 두번 적분해 비행속력과 거리를 계산한 후, ... ...
원핵생물에도 생체시계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연구소 곤도 다카오(近藤孝男) 박사팀에 의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이 리듬을
명확
하게 확인할 수단을 찾던 연구진은 발광세균의 루시퍼라제라 불리는 발광유전자에 착안했다. 애너비너는 유전자 도입이 쉬운 종인 시네코코카스를 택했다.이 애너비너는 광합성으로 생활하므로 생체시계가 있다면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