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개발했다. 두께가 약 1.5mm에 불과한 이 렌즈를 착용하면 윙크 한 번에 멀리 떨어진
물체
를 당겨서 볼 수 있다. 이 렌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특수 안경을 함께 착용해야 한다. 안경테에는 윙크를 일반 눈 깜빡임과 구별하기 위한 센서가 장착돼 있다. 이 센서가 윙크를 검출하면 안경이 빛을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몸통도 회전할 수 있다. 특수 장갑을 끼고 손가락을 움직이면 손을 똑같이 움직이는데,
물체
를 집어 들어올릴 수도 있다.한쪽 팔에는 1분에 6000발의 총알을 쏠 수 있는 장난감 총이 장착돼 있는데, 표적을 설정하면 로봇 팔이 자동으로 움직이는 표적을 따라 이동한다. 이는 고성능 전투기에서나 볼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회전하는 기계였기 때문이다(왼쪽 사진). 팔끝에 사람 키를 훌쩍 뛰어넘는 바구니 같은
물체
가 매달려 있는데, 거기에 실험 모형과 측정 장치들을 넣고 장치를 돌린다. 김기영 K-water융합연구원 기반시설연구소 시설안전연구팀장은 “질량이 8t인 실험 장치를 탑재하면 중력의 100배까지 강한 힘을 줄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탑재한 스마트폰 H2를 선보였다(➊). 스키오 센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가까이 대면
물체
에서 나오는 근적외선을 스캔해 2초 만에 성분을 분석해낸다. 이 센서는 비아그라와 같은 약의 성분이나, 몸의 체성분도 측정할 수 있다. 한 이스라엘 기업은 이 센서를 이용해 당뇨병과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 ...
[수학뉴스] 사랑이 피어나는 미분과 적분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주머니 속 스마트폰도 미분과 적분이 없었으면 만들기 힘들었을 거예요.미분은 움직이는
물체
의 순간적인 변화를 구하는 법이에요. 자동차가 어느 순간에 어떤 속도로 움직이는지 알고 싶다면 미분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지요. 적분은 곡선으로 이뤄진 도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도형을 다각형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스크린’을 제작해 지난해 8월 컴퓨터그래픽스 연례회의인 시그라프에서 발표했다.
물체
의 상이 씨스루 스크린의 앞이나 뒤에 맺히게 해 입체감을 선사한다.연구팀은 씨스루 스크린에 들어가는 광학 소자로 광중합체를 준비했다. 이 광중합체는 빛을 주면 간섭 무늬의 패턴에 따라 내부의 ... ...
[DJ CHO의 롤링수톤] 뮤직비디오 속의 기하학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길게는 수백 일 동안 우주에서 무중력 상태로 머무르게 되거든요.중력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입니다. 일반적으로 중력을 느낀다는 말의 의미는 무게를 느낀다는 거예요. 지구에는 중력이 작용해서 우리는 무게를 느낍니다. 지구보다 중력이 작은 천체에서는 저중력 상태가 ... ...
[핫이슈] 드론 조종부터 우주 비행사 체험까지!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전시된 실물 전투기. 록한 유선형을 하고 있어요. 그래서 프로펠러가 돌 때마다
물체
를 위로 떠받치는 ‘양력’이 발생하게 되지요.또 2개의 프로펠러가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힘의 균형을 맞추기 때문에 수평을 유지하며 떠오를 수있어요. 이 때문에 드론의 프로펠러 개수는 4~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수레 차(車)’와 ‘말미암을 유(由)’가 합해진 한자예요. 굴대는 가운데 구멍이 뚫린
물체
에 끼우는 긴 막대를 의미한답니다.기후 변화에 따라서 일 년을 구분한 것을 ‘계절’이라고 해요. 우리나라는 중위도 지역이라 사계절이 비교적 분명한 편이지요.‘계절 계(季)’는 ‘벼 화(禾)’와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모습을 남기는 건 불가능하다.그대로 기록하는 사진우리가
물체
를 볼 수 있는 이유는
물체
에 반사된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와 상이 맺히기 때문이다. 고대부터 많은 사람이 눈에 보이는 모습 그대로 남길 수 있는 방법, 즉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최초로 성공한 사람은 프랑스의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