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구축할 수 있다”며 “땅 속에 있어 눈에 보이지 않는 마그마방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셈
”이라고 설명했다. 백두산 공동연구는 지금까지 북한이 3차례에 걸쳐 제안하며 시행 목전까지 왔지만 결실을 맺지 못했다. 2007년 12월 남북 환경보건실무자회의에서 처음 제시된 뒤 전문가그룹을 ... ...
[Issue] 애증의 잠, 잘 자려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연구에서 기면증 유병률은 0.015%로 조사됐습니다. 1만 명 가운데 1.5명이 기면증 환자인
셈
입니다. 많은 부모가 생활습관을 탓하며 자녀가 기면증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하지 못하지만, 놀랍게도 기면증은 주로 15~16세에 처음 발병합니다. 현재 학계는 기면증을 면역세포가 자기 몸의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게임판 크기가 크게 보면 3×3인데, 각 칸에는 또다시 3×3 게임판이 있어서 사실상 9×9인
셈
입니다. 규칙은 이렇습니다. 9개의 3×3 틱택토 중의 하나를 선택해 빈칸 중 한 곳에 ◦ 또는 ×를 표시합니다. 만약 위에 왼쪽 그림처럼 한가운데 있는 틱택토의 윗줄 가운데 ×를 표시하면(❶), 다음 사람은 윗줄 ... ...
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법의 테두리 안에서 개인정보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자유도가 훨씬 커지는
셈
이다. 학계에서도 동형암호가 GDPR에 대한 산업계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비노드 바이쿤타나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과학및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GDPR이 ... ...
[Culture] 여기저기 발톱으로 긁어놓는 고양이 어떡하죠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합니다. 하지만 발톱으로 긁어 놓는다면 아주 오래가는 시각적인 영역표시가 되는
셈
입니다. 또 긁을 때마다 발가락 사이에서 페로몬이 나오는데, 이를 ‘합성지간페로몬’이라고 합니다. 시각적인 영역표시를 하는 동시에 합성지간페로몬으로 후각적인 영역표시도 하게 됩니다. 한편 긁기 행동은 ... ...
[인터뷰] GIST 대학장 고도경_ “서류전형 70% 반영, 고교 생활 성실해야 유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입학을 시작한 이래 8년 만에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으로 인정받은
셈
이다. 고도경 GIST 대학장(물리·광과학과 교수)에게 GIST의 인기 비결과 입학전형 특징을 들어봤다. 2015~2016년 연속 QS세계대학평가 2위GIST의 높은 경쟁률에 대해 고 대학장은 “세계 정상급 연구 역량과 우수한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대기가 사각형 면과 만나는 선 사이의 좁은 범위 안에서만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는
셈
”이라고 말했다. 인공위성_(여덟바퀴 째 결국 지구와 충돌) 연구팀은 정육면체 지구 주위를 돌 수 있는 달(위성)이나 인공위성의 궤도도 계산했다. 지구와 달이 구형일때는 서로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한다.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16년 한 해 계란을 일인당 268개나 먹었다고 합니다. 일주일에 평균 다섯 개씩 계란을 먹은
셈
입니다. 그만큼 우리의 식탁에서 계란은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입니다. 계란은 맛있기만 한 게 아닙니다. 쓸모도 많습니다. 겨울철 유행하는 독감을 예방하는 백신을 만들 때는 유정란에 독감 바이러스를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평균 1초에 하나씩 사라진다. 사십춘기까지 약 20년간 대략 6억 개의 뇌세포를 잃는
셈
이다. 10년마다 뇌가 2%씩 수축한다는 연구도 있다. 이와 함께 깜빡하고 잊지 않게 도와주는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는 뚜렷이 감소한다. 사십춘기의 뇌는 하나의 특징으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브루스 ... ...
[Culture] 그 많은 감귤 패밀리는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만다린으로 확인됐다. 사람으로 치면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섞이지 않은 아프리카인인
셈
이다. 연구자들은 순종 만다린을 ‘유형1’로 분류했다. 그리고 게놈에 포멜로의 유전자가 1~10% 섞여 있는 16가지를 ‘유형2’ 만다린으로, 포멜로의 유전자가 12~38% 섞여 있는 7가지를 ‘유형3’ 만다린으로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