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조금
한모금
근소
약간
d라이브러리
"
소수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y=1/x²이라는 방정식에서 x=01일 때 y값은 100이지만, x=011일 때 y값은 8264이다 만약 x값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면 y값이 무려 1735나 달라지게 된다 이런 일이 여러 번 계속된다면 y값은 전혀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이처럼 비선형 항에 의해 변수 값의 작은 변화가 결과 값에 큰 변화를 미치는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비친 세상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우리는 타인의 고통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하지만 극
소수
의 사람이 앓고 있는 병이나 장애를 연구하며 수년간 땀 흘리는 과학자도 있다. 카메라가 앞을 잘 못 보는 장애우의 시각을 확장시켜준 것처럼 이들의 노력은 눈에 보이는, 또는 보이지 않는 열매로 한창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물이 생성될 때 수소공여체인 기질(基質)의 수소가 탈수소효소에 의해 이탈되어 중간수
소수
용체를 환원시킨다 저장하여 석유 대체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한 수소 수소는 연소시켜도 산소와 결합하여 다시 물로 환원 되므로 배기 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이 없기 때문에 수소 가스의 ... ...
부작용은 신의 선물?!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얼굴과 같은 약의 양면성에서 의약품의 부작용을 바라보자. *임상 4상임상 1상은
소수
의 환자(약 20~30명)를 대상으로 약의 효능을 시험하는 것이다. 환자 수를 좀 더 늘리면(약 200명) 임상 2상, 마지막으로 대규모 환자 집단(약 1000명)을 대상으로 부작용을 세세히 테스트하는 과정이 임상 3상이다. ... ...
껌과의 전쟁은 끝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잘 붙지 않는 새로운 껌의 재료를 만들어낸 것.Rev7이라 이름 붙인 이 성분은 친수성과
소수
성 구조를 동시에 갖는다. 코스그로브 박사는 “껌을 씹을 때 Rev7의 성분 중 친수성을 띤 부분이 입 안으로 흘러나오는 성질이 있어 콘크리트 바닥에 뱉어도 들러붙지 않는다”고 말했다.‘성능’을 검증하기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2중결합 또는 3중결합을 가진 지방산의 총칭 불포화지방산은 2중결합이 많은 만큼 같은 탄
소수
의 포화지방산보다 녹는점이 낮다2중결합의 위치, 시스-트랜스 이성질체 등에 의해서도 녹는점이 다르다2중결합의 위치를 표기하는 데는 카르복 시기의 탄소를 1로 부호를 붙인다유기화합물 중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증명해 보일 테니까.”23..... 영부인 로즈의 발빠른 행보가 시작됐다. 비서실 내에서는 극
소수
만이 래빗의 병세를 알고 있었다. 로즈는 평소 자신의 정치 개입을 반대하던 대학총장 출신 비서실장을 제치고 정무수석인 김만희 씨와 대소사를 의논했다. ‘마이클’이라는 미국 이름으로 더 유명한 ... ...
친환경 여객기 보잉787 드림라이너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위해 P A M 디랙이 제안한 이론 G L 디리클레가 등차급수의 항 속에 무수히 많은
소수
(素數)가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한 급수포텐셜론에서 함수의 개념을 재정립한 근대적 이론 라플라스 방정식에 대한 제1종 경계값 문제로서, G L 디리클레의 제자 G F B 리만이 명명했다황화디메틸을 산화시켜 얻는 물질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산학이 원하는 고순도 ‘엑기스’ 인력을 배출해왔다. 박 총장은 “전체 1%에 해당하는
소수
의 과학영재를 모아 세계 과학기술계를 이끌 0.1% 수준의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앞으로도 입학정원을 늘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현재 포스텍 졸업생의 취업률은 300%가 넘는다. 한사람이 ... ...
조향사, 전자코와 한판 승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 병에 걸리면 뇌의 후각구가 발달하지 않아 선천적으로 냄새를 맡을 수 없다. 극
소수
의 사람들이 앓고 있는 후맹 역시 평생 자신이 후맹인지 모르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미국의 과학자 존 아무어는 “222명의 실험 참가자에게 맥아 향을 맡게 했더니 36%의 사람이 아무 냄새도 느끼지 못했다”고 1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