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상"(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내왔습니다. 레이저의 전신인 ‘메이저’ 이론을 확립한 니콜라이 바소프 등 노벨상 수상자도 7명이나 배출했습니다.이 연구소의 독특한 특징은 물리학과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를 다룬다는 점입니다. 홈페이지에서 분과 소개를 보면 진동의 비선형 이론 같은 기초과학부터 펨토초 레이저, 반도체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어떻게 나눠 가질까?노벨 물리학상 상금은 총 800만 크로나, 한화로 약 10억이다. 그런데 수상자가 세 명이라면 상금은 어떻게 나눠 가질까?결과부터 말하면 데이비드 사울리스 교수가 상금의 절반인 400만 크로나를, 그리고 코울리츠 교수와 허데인 교수가 남은 상금의 절반씩 200만 크로나씩 가져간다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론을 주도한 인물들의 나이가 이제 겨우 50대 중반임을 고려할 때, 이들이 노벨상을 수상할 거라고 예측하는 건 매우 안전한 도박이다. 그날이 정말 온다면, 노벨상 위원회가 과연 K-이론을 대중에게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궁금할 따름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예측한 두 명의 물리학자가 노벨 물리학상을 탔는데, 입자를 직접 발견한 CERN에서는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아쉽지 않았나.발표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노벨 위원회는 CERN의 공로를 분명하게 인정했다. CERN의 모든 구성원은 두 학자가 노벨상을 받게 됐을 때 마치 우리가 상을 받은 것처럼 기뻐하며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스캔들을 일으켜 전세계적인 물의를 빚은 독일의 자동차 제조회사 ‘폴크스바겐’이 수상했다. 차량을 테스트할 때마다 자동으로 더 적은 배기가스를 배출하게 해 오염 문제를 ‘해결했다’는 평가를 받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로봇SW에 대해 알리기도 했다. 다양한 SW교육 활동을 하기 위해 힘쓴 조 교사는 지난해 수상의 기쁨을 누리기도 했다. 제45회 전국 교육자료전에서 ‘아두이노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폰무선 과학 실험’으로 국무총리상을 받은 것이다.SW는 새로운 기회현장에서 만난 학생들은 흥미로우면서도 진로와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새롭게 포장하는 ‘신조어’를 만들기 위해 고민해야 한다. NIH가 1989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토마스 첵에게 40년 이상 한 가지 주제를 연구하도록 지원한 것과 대조적이다. 다행히 나쁜 평가를 받지는 않았다. 그런데 동료 교수 중 한 명이 ‘불성실 실패’ 판정을 받고 지원받은 연구비 일부를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집단지성 프로젝트가 가능할까?수학에서도 대규모 연구 가능할까?2009년 1월, 필즈상 수상자인 티머시 가워스는 블로그에 ‘수학에서 대규모 공동연구가 가능할까?’라는 제목의 글을 하나 올렸다. 인터넷을 활용해 전세계 수학자들이 힘을 합쳐 공동으로 연구하면 난제도 쉽게 풀 수 있다고 생각한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중 일부는 이미 노벨상 수상자가 나왔다. 하지만 이재윤 교수는 “만약 한국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온다면 이들의 연구 그룹에서 향후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 연구 그룹이 세계적인 성과를 지속적으로 낼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갖추면, 거기서 훈련된 연구자들이 노벨상급 성과를 낼 수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밀어주고, 협력 연구 끌어줘야”아론 치에하노베르 교수는 ‘지한파’다. 2004년 노벨상 수상 후 한국을 수십 번 방문했고, 서울대 의대 석좌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그는 한국의 연구 문화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다. “도전적인 과제보다 현재 학계에서 주목받는 주제가 연구비를 받기 유리하다면,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