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점
순간
d라이브러리
"
어떤 특정한 때
"(으)로 총 2,394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백혈병, 암 치료가 까다로운 병은 유전자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기
때
문에 나타난다. 따라서 이런 경우 잘못된 유전자를 찾아 정상 유전자로 바꿔주면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몸에 있는 유전자가 각각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야 한다. 그 방법은 기능을 알고 싶은 유전자가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거세한 내시나 자주 자위행위를 하는 사람에게도 같은 증상이 나타났기
때
문이다. 따라서 고환이 핏속으로
어떤
특별한 물질을 내보내 신체에 활력을 준다고 생각했다.1889년 그는 젊고 튼실한 개의 고환을 갈아 자신의 팔에 주사했다. 나흘 째 되던 날 개의 고환이 떨어지자 아쉬운 대로 기니피그의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바꾸고 있는 것일까. 현실이 게임이 되고 게임이 현실이 되는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게임은 현실 속으로 들어와 있다. 정확히 말해 게임을 만들
때
꼭 필요한 게임 디자인 요소가 일상 생활에서 구현되고 있다. 좀 더 박진감 있게 보여주기 위해 신입 은행원의 하루 일상으로 이를 소개한다. ... ...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과학 올림피아드도 축소되고 있다. 국제 올림피아드 대상자를 뽑을
때
도 서류심사로 교육생을 모집한 후, 교육을 통해 국제대회 참가자 4~6명을 ... 교과성적 외에도 다양한 ‘스펙’을 요구하고 있다. 은 서울대 공대
어떤
모집 단위의 특기자전형 응시자의 비교과 실적이다. 내신성적이 비교적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
때
개가 속도를 다시 줄이는 이유는 잡아 끈 목줄이 개의 숨통을 막기
때
문이다. 누군가가 내 목을 잡아끌어 걸음을 멈추게 하면
어떤
기분일지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자. 사랑하는 반려동물에게 이렇게 강압적인 방법을 쓰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일까. 동물도 칭찬을 좋아해 개와 고양이도 뇌를 ... ...
양자역학 토대 불확정성 원리 도전 받나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파장을 작게 하면 파장이 입자에 부딪히고, 이
때
발생하는 충격은 입자의 운동량을 변화시켜 ... 하이젠베르크는 이것을 두 불확정성의 곱이 늘
어떤
고정된 값 이상이라는 부등식으로 표현했다. ... 뒤 일종의 편광 필터를 통과시켜 입자의 스핀을
특정한
방향으로 만들었다. 그 뒤 전자기장을 지닌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할 두 가지 문제가 있어. 첫 번째는 유전자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완전히 알아 내지 못 했다는 거야. ... 장기를 줄 수 있는 돼지나 유전자를 재조합해서
특정한
병에 걸리게 한 쥐가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약을 ... 기상현상이지 뭐야! 용이 승천하기
때
문에 용오름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용오름을 ...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환자 발생 수 자료를 분석해 만든 지수로,
특정한
온도와 습도일
때
식중독이 발생할 확률을 알려 준다. 기상청 ... 사용된다.먼저 상관분석을 통해 두 인자가 서로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는지, 관련성은 얼마나 되는지 분석한다.상관분석은 변수들 간에 관계가 있는지 따져 보는 통계 분석 방법의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미 3차원 영상이 충분하기
때
문이다. 3차원 인쇄물을 보면 영상으로 볼
때
보다 뼈와 장기가
어떤
모양으로 얼마나 손상됐는지 이해하기 쉽다.인공 치아(임플란트)나 인공관절같은 보형물을 심으려면, 뼈에 공간을 마련하고 거기에 딱 맞는 보형물을 맞춰야 한다. 보형물이 너무 크면 다시 깎아야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원리는 간단하다. 생각에 따라 반응하는 뇌세포의 종류와 반응이 다르기
때
문에 뇌파를 측정하면 그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역추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컴퓨터 없이 종이테이프에 직접 뇌파를 기록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현재 뇌공학자가 쓰고 있는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당시에는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