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기자단] 2019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원판에 불이 들어왔어요. 피스톤을 눌러 생긴 운동에너지가 크랭크축을 돌리는 회전에너지로 바뀌며 자동차가 앞으로 나가는 거예요. 다음에는 플라스틱 재질과 고무 재질의 브레이크 중 원하는 걸 하나씩 골라 움직이는 회전판을 멈추게 해봤어요.“고무 재질과 플라스틱 재질의 브레이크 중에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력 발전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패러데이는 이 원리를 토대로 말굽자석 사이에 구리원판을 놓고 원판을 돌리며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발전기를 만들었지요. 미션2. 전기를 직접 만들자! 발전소는 매우 거대한 건물만 하지만 이번에 만든 이노마드 우노는 물병 크기로 어디든 들고 다닐 수 있는 개인용 발전기예요. 이노마드 ... ...
- 빅토리아● 혹등고래가 물기둥을 주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사실 혹등고래는 수면 위로 거의 뛰어오르지 않아요.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행동은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이지요. 매일 바다에 나가 혹등고래를 관찰하는 저도 그런 모습은 1년에 겨우 한두번 정도 볼 수 있답니다. Q범고래도 있다는데, 오늘은 왜 안 보였을까요?세일리시해에서는 약 7종의 ... ...
- [통합과학교과서] 의 고구마 레이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산소 부족 현상이 일어나지요. 그러면 근육은 어쩔 수 없이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 급하게 에너지를 만들어내요. 이 과정에서 근육에 피로 물질이 쌓이고 근육이 내는 힘은 급격히 줄어들지요.이미 한계에 부딪힌 상태에서 계속 달려야 하기 때문에 마라톤의 기록 단축은 무척 어려워요. 42.195km를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쿼크(quark), 광자(光子, photon)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미국 물리화학자 길버트 루이스예요. 1926년 과학잡지 에 보내는 편지에서 빛에너지를 전달하는 입자란 의미로 ‘광자’를 처음 썼지요. 이후 아인슈타인의 주장이 맞다는 사실이 받아들여지면서 ‘광자’는 빛의 입자를 뜻하게 되었답니다 ... ...
- [과학뉴스] 응답하라, 착륙선 비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착륙한 다음 무인 탐사 로봇 ‘프라기안’을 내려놓는 게 목표야. 프라기안은 태양 에너지를 동력으로 착륙선 반경 1km 내에서 움직일 수 있어. ISRO 소속 과학자들이 지구에서 원격으로 조종해 착륙선 주변에서 약 14일 동안 남극 표면을 관찰할 예정이었지. 물의 흔적을 추적하고 암석과 토양을 ... ...
- [통합과학교과서] 날벼락을 피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지역에 떨어 진다는 연구가 발표되었어요. ‘슈퍼번개(superbolt)’는 100만 줄(J)이 넘는 에너지를 가진 번개로, 일반 번개보다 1000배 정도 강력하지요. 25만 번 당 1번 나타날 정도로 드물기도 하고요. 미국 워싱턴대학교 지구 및 우주과학과의 로버트 홀츠워스 교수팀은 ‘세계 번개 위치 네트워크’를 ... ...
- [과학뉴스] 걷기, 달리기를 동시에 하는 엑소슈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엑소슈트를 입고 러닝머신 위에서 걷고 뛰는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엑소슈트를 입으면 에너지 소모량이 감소해 걷고 뛸 때 몸무게가 각각 7.4, 5.7kg 가벼워진 상태에서 움직이는 효과인 것을 확인했어요. 이 슈트는 허리에 매달아둔 배터리를 한번 충전하면 최대 8km까지 달릴 수 있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먹지 말고 양보하세요, 즐거운 달걀 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된걸까?결과 : 손을 대지 않아도 달걀이 병 안으로 빨려 들어간다.기체를 가열하면 열에너지가 전달돼 기체 분자의 속도가 빨라지며 기압이 높아져요. 따라서 불이 붙은 종이를 병에 넣으면 병 속의 기압이 오르며 자연스럽게 병에 있던 공기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나온답니다. 이런 상태에서 병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일사량,초전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통과하면서 에너지를 잃어요. 대기 중의 먼지나 수증기가 햇빛을 산란시키거나,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거든요. 그런데 해의 고도가 낮으면 햇빛이 지구로 비스듬히 들어오며 대기를 더 오랫동안 통과해야 하죠. 실제로 지구 표면의 일사량은 대기권 바깥 일사량의 약 70%밖에 되지 않는답니다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