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리"(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함수와 조건을 이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나오지요. 여기서 어떤 버튼을 누를 때 그 버튼에 해당하는 음료가 나온다는 함수의 원리를 찾을 수 있어요.그럼 밀키가 복잡한 명령을 수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명령 한 번으로 연속된 동작을 하도록 함수를 만들면 돼요. 만약 함수카드를 쓰지 않고 밀키를 앞으로 한 칸, 오른쪽으로 한 칸 ... ...
- [시사과학 뉴스] 선크림 어떻게 자외선 차단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티타늄디옥사이드와 같은 무기질 성분이 피부에 보호막을 만들어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원리예요. 모자를 써서 햇빛을 가리듯 피부에 크림을 발라 얇은 벽을 만든 뒤, 빛을 반사시켜 차단하는 거죠. 피부조직과 화학반응을 거의 일으키지 않아 피부 손상을 줄인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피부 위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학교 밖 체험 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자동차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물론, 안전을 위한 다양한 실험이나 에어백이 작동하는 원리도 배울 수 있었어요.키즈워크샵에서 자율주행 자동차도 만들었어요. 자율주행 자동차는 크게 인식, 판단, 제어의 3가지 단계를 통해 스스로 움직일 수 있어요. 초음파, 카메라, 레이더 등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 ...
- Part 3. 다른 음이온 제품은 어떨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팬티와 소금, 화장품, 정수기 등의 제품을 말해요. 국내 음이온 제품이 음이온을 만드는 원리는 크게 세 가지예요. 모나자이트 같은 방사성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 높은 전압을 걸어 전기 에너지를 방출시키는 방법, 폭포처럼 물방울이 공기 중에서 부서질 때 전하가 분리되는 현상을 이용하는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빛의 속도로 달리면서 거울을 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대해 고민하다가 온갖 신경증까지 겪었지요. 그 결과 아인슈타인은갈릴레이의 상대성 원리를 받아들이면서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도 받아들이는 이론을 발표해요. 그게 바로 1905년에 발표한 ‘특수 상대성 이론’이랍니다. 아인슈타인은 특수 상대성 이론을 통해 각자에게 자기만의 시간과 ... ...
- [과학뉴스] 중국, 1억 도 ‘인공 태양’ 성공과학동아 l2018년 12호
- KSTAR)’가 2017년 기록한 7000만 도를 넘어선 수치다. 핵융합은 태양이 빛과 열을 생성하는 원리다. 수소 원자핵들이 서로 충돌해 헬륨 원자로 융합하면서 방대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수소는 바닷물에서 쉽게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오염물질 배출도 없어 전세계 주요 국가들이 이를 지구에서 구현하는 ... ...
- part 2. 최저가 여행, 외판원 문제로 해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없을까요? 우리는 ‘분기한정법’이라는 알고리듬을 찾았습니다. 이름은 어렵지만 원리는 간단합니다. 최적의 답이 될 만한 후보를 나무 가지처럼 늘어놓고 답이 될 가망이 없는 가지는 가차 없이 잘라버리는 방법이에요. 즉 답이 나올 수 있는 범위를 정해두고, 범위를 벗어나는 값들을 지워 계산의 ... ...
- [알고리듬 시그널] 공개 키 암호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장소에 두고 누가 봐도 상관없게 만든 거죠! 일명 ‘공개 키 암호화’예요. 자, 그럼 원리를 차근차근 살펴볼게요. 공개 키 암호화는 정보를 암호로 만드는 ‘암호화’와 암호를 해독하는 ‘복호화’에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해요. 암호화에 사용하는 키는 ‘공개 키’, 복호화에 사용하는 키는 ‘개인 ... ...
- [과학뉴스] 카멜레온처럼 색 변하는 전고체 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정열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카멜레온의 색 변화 원리에 착안해, 별도의 염료 없이 스스로 색을 바꾸는 유연한 전고체(고체 전해질) 소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스’ 10월 21일자에 발표했다. 광결정은 특정 파장의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505년 이탈리아의 천재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새의 몸 구조와 새의 비행 원리를 해부학과 생리학 지식을 동원해 연구했다. 그 결과 새의 날개 윗부분과 아랫부분에서 압력 차이가 존재해 새가 하늘을 날 수 있는 힘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훗날 과학적으로 증명된 ‘양력’이다. 190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