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충족
충만
만족
흡족
배가득
만복
넉넉함
d라이브러리
"
충분
"(으)로 총 2,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류와 캠프 두 마리 토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자신의 가설에 대한 참/거짓을 결정지을 수 있는지 확인해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 필요
충분
조건은 데카르트에 의한 수학적 연역법과 갈릴레이에 의한 실험적 연역법이 사용된다. 중·고등과정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즉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으로 어떻게 설계하는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 토론 과제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실행하고 난 뒤 나타날 부작용을 완벽히 예측할 수 없고 대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충분
한 토의와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 앨런 로복 미국 럿거스대 환경과학부 교수는 ‘미국 핵과학자회보’에 ‘지구공학이 위험한 20가지 이유’라는 글을 쓰고 지구공학을 ‘병보다 위험한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책과 논문을 펴냈고 죽을 때 사후 47년 동안 상트페테르부르크 학술원의 회보에 싣기에
충분
한 원고를 남겼다. 886점의 책과 논문을 포함해 오일러가 발표한 모든 것을 한데 모은 기념집을 1909년 스위스 자연과학회에서 만들기 시작했는데, 사절판 73권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분량으로 계획됐다. 이는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않은 사람이 둘의 이야기를 듣고 어느 쪽이 컴퓨터인지 사람인지 맞히는 것이다.
충분
한 시간이 주어졌는데도 둘의 차이를 느끼지 못해 답을 찾을 수 없다면 컴퓨터가 튜링검사를 통과한 것이다.인공지능의 목표는 이 검사를 통과하는 컴퓨터를 만드는 것이다. 1990년 미국의 과학자 휴 뢰브러는 ... ...
새총으로 비행기 날리는 바다 위의 요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조종사들에겐 이렇게 큰 항공모함 갑판도 턱없이 좁기 때문이다. 200m 남짓한 활주로는
충분
한 속도를 얻어 하늘로 날아오르기도, 안전하게 착륙을 하기에도 부족하다. 항공모함 위에서 조종사들은 어떻게 이·착륙을 하는 걸까. 비행기는 항공모함에서 새총 쏘듯 하늘로 발사되고, 낚시줄에 걸리듯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아라온 호는 바다 위를 떠다니는 얼음(유빙)을 주로 헤치고 달리기 때문에 이 정도로도
충분
하다. 물론 이 성능은 세계 최대의 쇄빙선인 러시아의 ‘승전 50주년 기념호’가 2.8m 두께의 빙하를 깨는 데에 비하면 약한 편이다.하지만 승전 50주년 기념호는 배수량이 2만 5840t으로 아라온 호의 네 배 ... ...
성적이 계속 떨어져서 고민이라면?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있어. 심층면접 준비를 하면서 그때까지 내신 2등급 정도로 올릴 수 있다면 수시전형에도
충분
히 도전할 수 있을 거야.” 선생님은 현실적인 입시 준비에 대한 조언을 했다. 수시모집의 선발 인원이 늘어나면서, 수시를 제외한 정시만을 준비하기에는 아까운 기회가 많다. 그러므로 끝까지 포기하지 ... ...
우주엘리베이터의 상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탄소나노튜브는 인장력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우주엘리베이터를 만들기에
충분
하다. 과학동아 2010년 12월호 ‘라이프 스타일 혁명 10대 기술 우주엘리 우주엘리베이터는 지표면의 출발지와 우주공간의 목표지점 사이를 궤도로 연결해 이 궤도를 이용해 우주까지 가는 운송 수단이다. ... ...
다세포생물 키운 건 고농도 산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확인했다.연구팀을 이끈 크리스 스콜필드 교수는 “단세포생물과 달리 다세포생물은
충분
한 산소가 필요하다”며 “산소가 세포 표면뿐 아니라 속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산소가 풍부해지자 일부 단세포생물들은 산화반응으로 에너지를 만드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것. 환경에 ... ...
먹이사슬 받치는 '천연 소시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크나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래서 생태계를 움직이는 중심인 애벌레에 대한 관심과
충분
한 연구가 필요하다.생활양식이나 천적, 번식방법 등 지금까지 학자들이 어른벌레에 대해 계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것처럼 애벌레를 분류하고, 생물학적 요구를 이해하고 이러한 생물체들을 설명하고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