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몸으로 드론을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만들기 위해 17명의 실험 지원자를 뽑았어요. 그리고 실험자들의 몸에 움직임을 측정하는 19개의 적외선 센서를 붙였어요. 그 후 지원자들은 가상현실 고글을 끼고, 가상현실 속에서 날아가는 드론을 따라 몸을 움직이라는 지시를 받았지요. 연구팀은 실험 지원자들이 드론의 움직임에 따라 상체의 ... ...
- Part 1. 폭풍 구름 위를 날다! 허리케인 헌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드롭존데’를 구름 속으로 떨어뜨리지요. 드롭존데는 습도, 기온, 풍속 등 기상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드롭존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NOAA GPS 등이 들어있는 장치로, 항공기에서 바다로 떨어지는 동안 계속해서 기상 정보를 모을 수 있거든요. 그뒤 이렇게 관측한 기상 자료를 무선으로 ... ...
- [과학뉴스] 공중 스턴트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팔다리를 실시간으로 움직일 수 있지요. 또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도 갖추고 있어서 정확한 타이밍에 자세를 바꿀 수 있어요.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공중에서 다양한 묘기를 선보일 수 있지요. 디즈니 측은 스턴트로닉스를 영화 촬영 등 다양한 ... ...
- Part 3. 구름 위의 폭풍을 쫓는다! 스톰 헌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맡은 덴마크기술대학교 토르스텐 뉴베르트 교수는 “앞으로 촬영한 사진과 X선, 감마선 측정 자료를 함께 분석할 예정”이라며 “가장 재미있는 연구가 남아있는 셈”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극한 직업! 폭풍 사냥꾼이 간다!Part 1. 폭풍 구름 위를 날다! 허리케인 ... ...
- [과학뉴스] 곰돌이 젤리, 센서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프린팅했지요. 그 결과 단일 세포나 몇 개의 세포에서 전달하는 미세한 신호까지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연구를 이끈 노우란 아틀리 박사후연구원은 “젤리에 인쇄하는 마이크로 전극은 빨리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치료 방법을 바꿀 수도 있다”며 “앞으로 많은 분야에 ... ...
- Part 3. 다른 음이온 제품은 어떨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부서질 때 전하가 분리되는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이에요. 제품이 만드는 음이온량을 측정하는 시험기관인 한국원적외선협회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시험 의뢰를 받은 음이온 제품의 90% 이상이 모나자이트를 사용했다고 밝혔어요. 전자제품이 아닌데 음이온을 뿜는다면 방사성 물질이 포함돼 있을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입술은 뒤로 당겨지고, 콧구멍은 ‘U’에서 ‘V’자로 바뀝니다. 이 변화를 1에서 10까지 측정해 통증 정도를 파악하는 겁니다. 연구팀은 양의 얼굴 사진 500장으로 AI에게 이를 학습시켰습니다. 초기 테스트 결과, 약 80%의 정확도로 통증 수준을 예측했습니다. 연구를 이끈 피터 로빈슨 연구원은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특성을 연구하는 것도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양자컴퓨터에 응용하거나 자기장과 중력을 측정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걸쳐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로켓은 로켓의 추진기관을 개발하거나 무중력 실험, 대기질 측정 등 과학적인 목적으로 발사하는 연구용 로켓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제작된 과학로켓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개발한 ‘KSR-Ⅰ호’ ‘KSR-Ⅱ호’ ‘KSR-Ⅲ호’가 있다. 하지만 정부 차원이 아니라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얇아 피부에 붙일 수 있고, 파킨슨병, 간질 등 운동 장애 질환의 발병 여부를 모니터링해 측정 결과를 저장하며, 약물을 투여해 치료까지 가능하다. 김 교수는 2011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발행하는 ‘MIT 테크놀로지리뷰’에서 ‘세상을 바꿀 젊은 과학자 35명’에 한국인 과학자로는 두 번째로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