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홍수
대수
d라이브러리
"
큰물
"(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남극대륙은 지금도 진화 중남극대륙이 오늘날의 위치에 놓이게 된 건 해저지형들의 ‘밀당’ 때문이었다.중앙해령은 해양지각을 만들어내 대륙과 대륙 사이에 바다를 넓혔고, 해구에서는 해양지각판을 지구 안쪽으로 끌어당겼다. 남극대륙의 위치는 지금도 조금씩 변하고 있다. 해령은 확장하면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파충류는 지난 3억1000만 년 동안 온갖 다양한 모습으로 지구 곳곳에서 살았다. 하지만 이 긴 역사가 우리의 부주의 때문에 위기를 맞고 있다. 서식지 파괴와 밀렵 때문에 수많은 파충류들이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정부와 단체의 보호를 받으며 살아가는 종류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삶의 터전을 ... ...
미스터리 1. 모래 없는 얼음 사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한랭사막 : 강수량이 적고 일 년 내내 얼음이 얼어있는 지역을 영구빙설사막, 마찬가지로 여름을 제외하고 모든 계절 얼어 있는 툰드라지역을 툰드라사막이라고 한다.]내비게이션 화면 보이지? 여기 보이는 아이콘들이 미스터리 사건의 정체를 밝힐 수 있는 유일한 단서야. 첫 번째 단서는 엥? 이건 ...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사이클로이드 곡선의 길이랑 상관없이 굴렁쇠가 한 바퀴 돌았으니 굴렁쇠 둘레의 길이가 답이지요. 반지름이 3이니, 굴렁쇠 둘레의 길이는 6π네요!”그 순간 호수를 둘러싼 바위 한 편이 갈라지더니 파스칼이 타고 있는 쳇바퀴가 호수 밖으로 빠르게 굴러나갔다. 단도 재빨리 쳇바퀴가 굴러가는 ... ...
[Photo] 천의 얼굴에 숨은 천 가지 기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연기자에게 보내는 최고의 찬사는 아마도 “천의 얼굴을 가졌다”는 평가일 것이다. 어떤 배역을 맡더라도 마치 본래의 모습인 것처럼 생생하게 표현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광물계에서는 중정석(BaSO4)이 꼭 그렇다. 비교적 흔한 광물이지만, 200가지 이상의 다양한 결정형을 가지고 있어서 종종 아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화성보다 모른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극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그래도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건 국경을 넘어선 과학자들 간의 협력 덕분이었다. 지난 5월 10~11일에는 ‘제22차 국제극지과학 심포지엄’이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에서 열렸다. 심포지엄에는 미국과 캐나다 ... ...
[과학뉴스] 바닷물이 저절로 맹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바다에서는 아무리 목이 말라도 바닷물을 그대로 마시면 안 돼요. 반드시 정수기를 이용해 바닷물을 맹물로 정수한 뒤 마셔야 하지요. 하지만 전기를 쓸 수 없는 바다 한가운데에선 정수가 불가능해요.그런데 최근 서울대학교 김성재 교수팀이 전기 없이 바닷물을 맹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 ...
[Tech & Fun] 박흥보 특급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우리 회사가 망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시도한 사업은 바로 흥부놀부 이야기를 흉내내서 박씨를 심어 보겠다는 것이었다. 처음 그 말을 듣고 나는 농담을 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농담이라고 하기에는 재미가 없었다. 우리 회사의 유일한 장점은 농담이 재미가 없으면 아무리 사장이 이야기 하더라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광릉숲에서 두꺼비만큼 흔하게 만나는 참개구리. 울퉁불퉁한 몸매와 커다란 몸집이 특징인 ‘두꺼비’는 우리나라 민요나 동화에 자주 등장해요. 주로 수호신이나 사람들을 돕는 착한 동물로 묘사된답니다. 예를 들어 동화 ‘콩쥐팥쥐’에 나오는 두꺼비는 밑이 뚫린 독을 몸으로 막아 콩쥐가 물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인공 광합성 연구는 요즘 ‘핫’한 주제다. 너무 많아서 고민인 이산화탄소로 고부가가치의 화학물질과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니, 꿩 먹고 알 먹는 연구다. 인공 광합성의 핵심은 ‘식물의 광합성 회로를 인공적인 재료로 얼마나 잘 구현하는가’다.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지난해 수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