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ICM 초청 강연자를 만나다➊] 눈에 안 보이는 것을 수식으로 푸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강한 사람끼리 부딪히면 서로 스트레스를 받잖아요. 물질도 마찬가지예요. 저는 수학을
활용
해 스트레스의 크기를 알아보는 연구를 했어요. 스트레스가 너무 커지면 합성물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스트레스의 양을 수치화하는 건 중요하지요. 최근엔 스트레스와 관련된 재미난 발견도 했어요. Q ... ...
돼지 심장 이식 성공 이종장기 시대 앞당겨진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종장기 시대에 가장 중요한 기술로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활용
한 유전자 편집이 있다. 국내의 유전자 편집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제도 부족과 인프라의 한계로 아직 국내에서는 사람에게 이식할만한 수준의 유전자 편집 돼지가 개발된 사례가 없다. 박 교수는 ... ...
[드론으로 본 제주] 제주의 역사를 품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것이다. 이런 가치를 인정받아 2012년 세계자연보전총회에서 ‘하논분화구 복원·보전 및
활용
’ 발의안을 채택해 논농사 이전의 마르형 분화구를 복원하기로 했다 ... ...
[인터뷰] “다음 세대를 위한 길에 함께 하길”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재생 가능한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콩기름과 같은 천연자원을
활용
한 포장지를 개발하는 등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적인 생산공정을 갖추기 위해 노력했다”며 “이 과정에서 쌓인 노하우로 ‘탄소배출 관리 컨설팅’이라는 새로운 영역도 개척했다”고 말했다.지난해 ... ...
이 향에 지구의 기억을 담을 수 있다면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인간의 애정은 남달랐다. 과학자들은 끊임없이 향의 비밀을 파헤쳤고, 다양한 분야에
활용
했다. 이에 과학동아는 퍼스널케어 전문 브랜드 쿤달과 함께 생명의 고향 지구를 추억할 수 있는 향, ‘창백한 푸른 점’을 만들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이 향에 지구의 기억을 담을 수 있다면 ... ...
[특집] 수학 X 게임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두 직선이 만나는 지점에 엔드 차원문이 존재해요. 이 원리는 ‘삼각형의 결정조건’을
활용
한 것입니다. 삼각형의 결정조건은 삼각형이 하나로 유일하게 정해지는 조건을 말해요. 삼각형의 결정조건으로는 세 변의 길이를 알 때(SSS),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각을 알 때(SAS), 한 변의 길이와 양 끝 ... ...
[매스미디어] 히어로의 세대 교체, 어둠을 뚫고 그가 온다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음파를 보냅니다. 음파가 지형지물에 다다른 뒤 다시 자신에게로 돌아오는 메아리를
활용
해 거리를 측정하지요. 포인트 2. 슈퍼카 느낌의 배트 모빌 영화 속에서 배트맨이 출동할 때마다 눈길을 사로잡았던 배트맨 전용 자동차 ‘배트 모빌’. 예고편을 통해 공개된 ‘더 배트맨’의 배트 모빌은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제 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있어요.제가가지고 있는 장점을
활용
해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있지요.요즘엔 AI나 기계학습과 같은 ‘응용 수학’에 관심이 생겨서 코딩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답니다.폴리매스 회원 여러분도 꿈을 향해 달려가다 ‘내 길이 아니다’라는 생각이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유용한 자산이다. “복잡한 수식보다 개념을 전달하기에 더없이 좋은 방법은 그림을
활용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 막 시작한 연구자 대부분은 자신의 머릿속에 두루뭉술하게 존재하는 개념을 구체적인 그림으로 형상화하는 데 큰 어려움을 느낍니다. 그런 사람들에게 필요한 게 표현의 기술과 ... ...
[논문탐독] 두 가지 항암제 섞어 암 정복 길 개척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저항을 가진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세포와 유사한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있는 세포를
활용
해 실험했습니다. A452와 BTZ 또는 CFZ를 저항성이 있는 다발성 골수종 세포와 없는 세포에 각각 처리한 뒤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했습니다. 그 결과 약물을 조합해 쓰면 이들 저항성 인자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