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상온 초전도체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이번 상온 초전도체 연구는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초전도체 현상이 처음 발견된 지 100년이 넘었지만, 영하의 온도에서만 초전도 현상을 보였어요. 그래서 상온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가 등장했다는 소식은 반가울 수밖에 없죠. 하지만 높은 압력은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답니다. 그 숙제를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100년을 기다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초전도체가 극한의 추위에서 벗어나기를 과학자들이 얼마나 기대했는지 아세요? 무려 100년이 넘는 시간을 기다렸다니까요! 이렇게 긴 시간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1] 20세기 초 “엄청 낮은 온도에서 저항은 어떻게 변할까?”저항이 발생하는 원인은 전기를 운반하는 ... ...
- 베토벤, 내가 제일 잘 나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초반부터 베토벤의 코드워드를 사용한 작곡가들이 많아졌고 베토벤이 사망한 후에도 약 100년간 많은 음악가들이 베토벤의 코드워드를 따라했지요. ▶클릭하면 라흐마니노프의 대표곡을 들을 수 있다 https://youtu.be/aMYlrfbDUJw ●인터뷰 "창의성은 연결이에요!"_ 박주용(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 ...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고고학자이자 나스카문화유산 관리책임자인 조니 이슬라 연구원은 “그림은 기원전 200~100년 사이에 만들어졌다”고 추정했어요. 이 시기 꽃 피웠던 파라카스 문명의 유적에도 고양이 그림이 있거든요.나스카 사막에서는 고양이 외에도 벌새, 원숭이, 사람 등 동식물 그림이 70여 점, 기하학적 ... ...
- [이달의 과학사] 섭씨 온도를 만든 셀시우스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셀시우스는 처음에 물의 끓는점을 0℃, 어는점을 100℃로 정했다는 거예요. 차가워질수록 온도계의 숫자는 올라가는 것이죠. 왜 이렇게 썼을까요? 역사학자들은 셀시우스가 추운 스웨덴에 살아서 영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더 잦아서 그랬다고 추정해요.셀시우스가 ...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입자의 경로를 정확히 측정하려면 각 층이 서로 뒤틀리지 않고 나란히 정렬돼야 하지만, 100μm 크기의 픽셀들이 정확히 정렬돼도록 검출기를 만들기는 불가능해요. 그렇다고 해서 1mm라도 어긋나면 한 층을 지나간 입자가 다음 층에서는 엄청 멀리 떨어진 픽셀을 지나간 것처럼 측정될 거예요.이런 ... ...
- [과학뉴스] 달 남극에서 물 분자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물 분자는 달 토양에 있는 유리 조각과 먼지 알갱이에 갇혀있는 형태였으며, 약 100~400ppm(100만분의 1)의 농도로 존재한다고 설명했어요.한편, 같은 날 달에 기존의 추정치보다 물이 더 많을 거라는 분석도 나왔어요. 미국 콜로라도 볼더대학교 천체물리학과 폴 하이네 교수 연구팀이 연구한 결과지요. ... ...
- AI만 있으면 나도 작곡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선택하고 합쳐 10초 안에 3분짜리 곡 하나를 완성하지요. 지금까지 이봄이 만든 노래는 100만 곡이 넘는답니다.한편, 이봄은 사진이나 동영상의 분위기에 맞는 음악도 만들 수 있어요. 인물의 표정이나 배경의 밝기 등으로 사진의 분위기를 유추해 음악을 만들지요. ‘행복, 밝음’이라고 인식하면 ... ...
- 노벨물리학상│20년간 우주 뒤져 블랙홀을 찾아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우리은하 중심의 거대질량 블랙홀을 관측했어요. ‘거대질량 블랙홀’은 태양보다 100만 배 이상 무거운 블랙홀이에요.두 과학자가 우리은하 중심을 살핀 것은 1974년 관측된 전파 때문이에요. 이 전파를 보낸 정체불명의 천체는 궁수자리 방향에 있어 ‘궁수자리 A*’라고 이름이 붙었으며 매우 작고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누구나 주머니에 그 기계를 하나씩 가지고 다닐 것이라는 예측도 했죠. 그리고 100년 가까이 지난 지금 우리는 모두 주머니에 이 기계를 하나씩 넣고 다니고 있죠. 니콜라 테슬라 같은 상상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요? 여러분도 얼마든지 미래를 바꾸는 주역이 될 수 있답니다. 앞으로도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