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심
주의
한계
범위
감시
국경
통제
뉴스
"
경계
"(으)로 총 1,44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능성 촉매 성능 높일 금속나노 입자 제어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박사과정생은 “입자의 크기는 오직 온도에 의해 조절이 가능했고 금속과 산화물 기판의
경계
에서 촉매의 반응이 일어났다”며 “생성원리를 파악해 입자의 분포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 의의”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금속촉매의 용출 현상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고, ... ...
[전문가 일문일답]잇따라 발생한 동해 지진, 동해 대지진 전조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내에 일어나는 특성도 보였다. 포항 쪽으로 내려가면 2월에 있었던 지진은 울릉분지 남서
경계
면 쪽이었다. 오늘 난 지진이 육상으로부터 최단거리는 40킬로미터 정도. 좀 더 안쪽 해안 가까이에도 단층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14~15년 동안 살펴보면 자주는 아니지만 간헐적으로 계속 ... ...
연속적인 동해 지진, 활성단층 지도 없어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지진이 기존 동해 해저 지질구조 정보를 바탕으로 남북 방향으로 형성된 울릉분지
경계
면에 작용하는 동서방향의 응력에 의한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한 상황이지만 정확히 어떤 활성 단층이 지진을 유발하는지 확인하기는 사실상 어렵다는 분석이다. 동해 해저 단층 지도는 1970년대 독일 ... ...
“동해 지진, 동해 사라지는 전주곡일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마련이다. 김 교수는 "둘 가운데 현재 좀더 지각 활동이 활발한 곳은 일본 서부와의
경계
면"이라며 "이쪽으로 최종적으로 섭입돼 사라질 가능성이 지금으로서는 약간 더 높아 보이지만, 어느 쪽이든 동해는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섭입대 형성 과정을 모식도로 나타냈다. 동해 ... ...
죽은 지 4시간, 뇌세포가 다시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수 있을지 주목 받고 있다. 반면 뇌의 활동 정지를 기준으로 나뉘던 ‘삶과 죽음의
경계
’가 모호해지면서, 복잡한 윤리 문제가 대두될 가능성도 함께 제기됐다. 네나드 세스탄 미국 예일대 의대 교수팀은 육류가공공장에서 나온 사후 4시간이 지난 돼지 32마리의 사체로부터 뇌를 분리한 뒤 ... ...
KAIST 빛낸 연구성과에 신개념 양자컴퓨터·투명 터치센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이정호 교수·의과학대학원)이 우수 연구성과로 선정됐다. 공학 분야에서는 △시공간
경계
를 이용한 빛의 선형 주파수 변환 기술(민범기 교수·기계공학과) △투명 유연 포스 터치 센서(윤준보 교수·전기및전자공학부) △반도체 웨이퍼 내 결함 패턴 탐지(김희영 교수·산업및시스템공학과) ... ...
화성産 첫 와인은 화이트 와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와인 양조용 포도를 기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지아는 유럽과 아시아
경계
를 이루는 카프카즈 산맥에 자리한 나라로 1990년 옛 소련이 붕괴되면서 러시아로부터 독립한 신생국가 중 하나다. 조지아는 ‘물보다 와인에 빠져 죽는 사람들이 더 많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와인을 ... ...
[블랙홀 첫 관측]인간이 상상한 각양각색의 블랙홀 모습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이동을 하는 우주선의 모습을 나타냈다. 이벤트 호라이즌 캡쳐 1997년엔 블랙홀 바깥의
경계
를 뜻하는 '이벤트 호라이즌(사건의 지평선)'을 제목으로 한 영화가 개봉했다. '무한의 우주-무한의 공포'라는 홍보문구를 가진 이 영화는 차원과 차원 사이에 구멍을 뚫어 초공간도약을 하는 우주선 ... ...
[블랙홀 첫 관측]실루엣 드러낸 ‘블랙홀’ 우주 진화 설명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흡수해 직접 관측할 수 없는 블랙홀의 사건지평선은 블랙홀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넓은
경계
지대를 말한다. 물질이 사건지평선을 지나 블랙홀로 빨려 들어갈 때 일부는 에너지로 방출된다. 호킹 박사가 양자역학에서 설명하는 불확정성의 원리에 의해 블랙홀로 빨려들어가는 물질은 어떤 형태로든 ... ...
[블랙홀 첫 관측] 천재물리학자의 방정식부터 중력파까지104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사건지평선을 제안했다. 어떤 사건이 일어나든 그 밖에서는 알 수 없게 되는
경계
면이라는 뜻이었다. 1963년에는 슈바르츠실트보다 좀더 많은 조건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일반상대성이론 풀이가 나왔다. 뉴질랜드의 수학자 로이 커가 발견한 이 풀이는 회전하는 천체에서 만들어지는 특이점의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