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101건 검색되었습니다.
업그레이드 된 ‘중력파’ 관측... 블랙홀-중성자별 비밀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9.20
예측된 중력파 모델이고 회색은 실제 관측된 신호 파형을 분석한 것이다. 하단 오른쪽
그림
은 중성자별끼리 병합할 때 생긴 중력파가 관측된 데이터. 라이고과학협력단(LSC) 제공. 5개월만에 중력파 후보 29건 관측...첫 블랙홀·중성자별 충돌 중력파 ‘기대’ 중력파는 블랙홀이 다른 블랙홀이나 ... ...
한미 공동연구팀, 태양 코로나 온도·속도 동시 측정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9.19
개발하고 대형 풍선기구를 제공했다. 고고도 성층권기구시험에 쓰인 과학용 기구
그림
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공동 연구팀은 미국 뉴멕시코 NASA 콜롬비아과학기구발사장에서 가로 약 140m 세로 약 216m의 대형 풍선기구에 태양 코로나 그래프를 달아 약 40km 상공 성층권에 띄웠다. ... ...
[주말N수학] 수학적으로 베이글과 머그잔은 똑같다
수학동아
l
2019.09.14
우리가 일반적으로 ‘구멍’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떠올려보겠습니다. 위
그림
처럼 얇은 종이에 원을 그리고 그 모양대로 가운데를 잘라냈다고 합시다. 이때 ‘구멍’은 1차원의 선으로 둘러싸인 2차원의 대상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즉 구멍의 수는 ‘폐곡선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수’로 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
2019.09.10
도파민 분비(아래)가 늘면서 우리는 쾌감을 느낀다. 중간 단계를 생략해 단순화한
그림
이다. 리드칼리지 제공 특정 혈자리에 놔야 효과 대구한의대 양재하 교수팀과 김희영 교수팀을 비롯한 공동연구자들은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에서 침이 궁상핵의 β-엔도르핀 뉴런을 활성화시켜 알코올 ... ...
한국 과학자들, 바닷물-민물 농도차 발전 핵심기술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일몰 모습. 쪽빛 하늘과 S자로 굽이쳐 흐르는 강하구. 그리고 석양을 가린 구름이 한폭의
그림
과 같다. 순천만에서는 누구나 사진작가가 된다고 한다. 바닷물과 민물 사이의 염분 농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재생에너지 기술인 ‘해양 염분차발전’ 기술의 핵심 원리를 밝히는 수학 모형을 ... ...
[에코리포트] 인도의 호랑이 호구조사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9.07
사냥의 풍경을 담은
그림
. 1800년대 초반에 인도에서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 정부는 지난 7월 '호랑이 센서스(개체수 조사)'를 발표하며 인도 호랑이 개체수가 3000마리에 육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때마침 발표일인 29일은 '세계 호랑이의 날’이어서 더욱 전세계인의 눈길을 끌었습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정보 왜곡, 선거판을 뒤집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7
네이처는 이달 5일 뇌 모양과 비슷하게 빨강과 파랑으로 표시된
그림
을 표지에 실었다.
그림
을 하얀색 선이 구획을 나누고 있는데 네이처는 ‘게리맨더링된 마음’이라는 제목으로 이를 설명했다. 게리맨더링은 특정 후보자나 정당에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확정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다. 알렉산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한국 사회의 혐오에 대하여
2019.09.07
등등 그걸 처음부터 ‘구조적’ 문제로 접근하는 사람들은 드물다. 추상적이고 큰
그림
을 그린다는 것은 인지적으로 많은 능력과 노력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문제를 가급적 작고 구체적으로 명시할 때 사람들은 자신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다는 ‘희망’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컨대 ... ...
에베레스트산에서 조난 당해도 달려갈 헬기 뜬다…서울대팀, 헬기기술 경진대회서 준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로터와 고정익 항공기 앞뒤 날개가 모두 달려있고 하이브리드 엔진을 장착한 헬기 모델(
그림
)을 제시했다. 이 헬기는 높은 고도에서도 효율성과 안전성이 뛰어난 점을 입증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연구팀 지도는 이관중 서울대 교수와 김창주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가 맡았다. ... ...
꿈의 물질 그래핀에 '모기 방어' 능력 추가돼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덮은 경우로 나눴다. 연구팀은 치즈 덮개 위에 산화그래핀을 씌운 덮개를 제작했다.(
그림
) 이 덮개를 덮은 경우 모기가 사람을 전혀 물지 않았다. 브라운대 제공 GO를 덮은 경우 모기는 단 한방도 물지 않았다. 반면 맨피부가 노출됐을 때는 제곱인치 당 평균 15회 이상, 치즈 덮개로 덮었을 때는 10회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