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법
테크닉
기술
기량
작풍
연주법
솜씨
뉴스
"
기법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은 왜 이럴까?] 타미플루와 인류
2018.12.30
새로 껍질을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GSK와 로슈 연구팀은 X선 결정학
기법
을 사용해서 뉴라미니다아제의 특정 부분을 자세히 들여다보았습니다. 네 부분으로 나뉜 작은 틈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죠. 연구진은 그 틈새에 끼어드는 약을 개발합니다. 약이 제대로 작용하면 ... ...
크리스마스를 솔로로 보내기 싫다면 ‘AI연인’어떠세요
과학동아
l
2018.12.22
딥러닝으로 분석한 뒤, 텍스트 마이닝(문장을 분석해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
기법
을 이용해 글을 분석, 사진의 의미를 추출하는 원리입니다. 같은 장소라도 시간대나 방문 목적, 분위기별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장소 추천이 가능합니다. 이 기술이 활용되면 AI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데 RNA 전사체가 작용하고 있다. 세포 속 RNA 전사체들은 유전적
기법
으로 표시해 초기 수정란(배아)의 발달 과정을 포착한 것이다. 세포 속 핵에는 염색체와 히스톤 단백질이 뒤섞여 뭉친 상태로 존재한다. 생명 현상이 진행되려면 히스톤 단백질의 특정부위에 아세틸기가 ... ...
음식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 주는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위험이 있다. 과학자들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신경을 자극해 체중을 감량하는
기법
을 개발했다.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위와 뇌를 연결하는 신경을 자극해 뇌에 배가 부르다는 신호를 주는 방식으로 뇌를 속아 넘어가게 한다.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제품도 나왔다. 하지만 기존 장비는 ... ...
‘꽃잎 지는 원리’‘기억의 장소’규명…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교수팀의 연구가 함께 이름을 올렸다. 강봉균 서울대 교수팀이 새로 개발한 화학 탐지
기법
으로 시냅스를 구분했다. 빨간색 수상돌기 위에 있는 노란색 지점이 기억저장 시냅스가 있는 곳이다. 왼쪽은 관측 이미지, 오른쪽은 3차원 모델링 이미지다. -사진 제공 서울대 생명과학과 다른 분야의 ... ...
호주 연구진 10분만에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교수 연구진은 암세포와 정상세포의 DNA 차이를 이용해 암을 쉽고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기법
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 검사방법은 암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크기가 어떤지는 알 수 없으나 암에 걸렸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제공한다.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의 외피단백질에 원하는 단백질 서열이 발현되도록 만드는
기법
이다. 먼저 원하는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와 파지의 외피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를 이어 붙여 단일가닥 DNA를 만든다. 이를 박테리아에 도입해 박테리오파지를 생산하도록 만들면, 생산된 바이러스의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천정희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기존에 제안된 CLT 다중선형함수를 기반으로 문제를 풀었다. 다양한 정수론 및 수학적
기법
을 총동원해 CLT 다중선형함수의 비밀 정보를 다항식 시간 안에 찾아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이 연구는 4세대 암호기술의 총아로 각광받던 암호학적 다중선형함수를 완전히 해독한 것이다. 연구를 ... ...
[여기에 과학]현생 고래 조상의 등장시기 800만년 더 앞당겨질 듯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가진 종이 등장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연구진은 컴퓨터단층촬영(CT)과 X선
기법
으로 새로 찾은 고래 화석의 특징을 확인했습니다. 컴퓨터를 이용해 총 363개의 기존 화석과의 계통 비교를 했습니다. 그 결과 새로 발견한 화석은 수염과 이빨 모두를 갖고 있지 않은 종이라고 ... ...
'질병의 공식'을 찾는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8.12.01
영상을 깨끗하게 만들기 위해 딥러닝
기법
을 적용했다. 알파고를 통해 잘 알려진 딥러닝
기법
은 영상을 구성하는 각 픽셀 정보를 학습해서 영상에 담긴 내용을 파악하는 기계학습 기술이다. 연구팀은 과거 방사선량에 대한 기준이 낮았을 때 촬영한 어린이 환자의 CT 영상과 적은 양의 방사선을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