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뉴스
"
민감
"(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어둠 속에서 색을 구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2
인간은 4개의 옵신을 사용해 색을 구별한다. 실버 스피니핀의 옵신은 서로 다른 파장에
민감
한, 모두 다른 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실로바 교수는 “3종 이상의 다른 옵신 유전자를 가진 4종의 물고기는 서로 관련이 없는 종”이라며 “이는 심해에서 색을 구별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간상세포를 ... ...
[과학기자의 생생임신체험記] 찌릿찌릿 가슴 통증으로 임신 사실을 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살아남을 수 있었는데, 지방은 에스트로겐 호르몬을 만들고 결과적으로 에스트로겐에
민감
한 젖샘 조직이 모여 있는 유방이 부풀게 됐다는 것이다. ●’내가 아기를 굶기고 있는 건 아닐까…’ 아이를 낳고 산후 조리원에 있으면서 유방 통증 때문에 고생하는 산모를 많이 봤다. 유선 조직에 ... ...
모든 소비자에겐 ‘측정할 권리'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고 대표는 “미국은 1층 단독주택이 많고, 지하실 문화도 있어 토양에서 나오는 라돈에
민감
한 나라다 보니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말했다. 미국은 30개 주 정부에서 집을 사고팔 때 라돈 농도를 제시하도록 하는 등 라돈 관리에 적극적이다. 반면 한국도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이 ... ...
어릴때부터 포켓몬 즐긴 사람, 뇌 속에 포켓몬 구역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범주의 물체를 전담하는 영역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뇌 가소성이 남아있고 시각적 경험에
민감
한 어린 시절부터 물체에 노출돼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하지만 인간은 이런 실험을 설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고메즈 박사과정생은 인간에게 적용할 방법을 찾다 어렸을 때 즐겨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낙엽송과 자작나무는 지구온난화에 둔감한 반면 새끼를 키울 때 주로 찾는 참나무는
민감
하다. 참나무 잎을 갉아먹는 애벌레의 등장 시기도 빨라진다는 말이다. 봄의 온도 상승 폭이 알을 낳는 시기인 4월 15일 이후에 더 크다는 것도 이유다. 애벌레의 생물량이 가장 많을 때인 5월에 평균기온이 더 ... ...
시각장애인도 뇌 시각 영역 활용해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더 정밀하게 분류하는 것으로 나왔다. 시각장애인의 뇌가 비장애인보다 소리를 더
민감
하게 받아들이도록 바뀐 것이다. 연구팀은 “시각장애인이 청각 피질에서 가소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첫 번째 연구”라면서 “시각장애인의 경우 음에서 더 많은 정보를 추출해야 해 향상된 능력을 ... ...
화성에서도 지진 일어난다...첫 지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화성 땅에 내려졌다. 인사이트가 화성에 내려놓은 첫 번째 측정 장비다. 지진계는 굉장히
민감
해 화성의 바람과 우주방사선으로부터 보호를 위해 JPL이 개발한 돔 형태에 진공으로 포장됐다. 이번 지진은 너무 작아서 지진계의 실제 임무 수행은 어렵게 됐다. 지진계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진파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녹지는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
2019.04.23
된다. 유전자 덕분에 역치가 10으로 태어나도 아동학대를 받아 뇌의 회로가 스트레스에
민감
하게 바뀌면 5로 떨어질 수 있다. 어릴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역치가 낮아지면 커서 스트레스에 더 취약해진다. 위의 실험 결과는 어릴 때 녹지에 노출된 정도가 뇌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 ...
효소 모방한 나노물질 이용해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가진 아세틸콜린을 시각적으로 검출하는데 성공했다. 이 나노자임은 자연 효소보다 더
민감
하게 아세틸콜린 검출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세틸콜린은 신경전달물질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알츠하이머 진단 마커로 여겨진다. 이 교수는 “나노자임은 오래되지 않은 분야이지만 기존 효소를 ... ...
올들어 규모 3 이상 지진 벌써 5차례, 동해 지역에 몰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이번 지진도 신고가 총 11회 접수돼 유감지진으로 분류됐다. 경주지진 이후로 지진을
민감
하게 느끼는 시민이 많아져 일어나는 현상이기도 하지만, 지진이 사람이 사는 곳에서 가깝게 발생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2014년 11회, 2015년 7회이던 유감지진 발생횟수는 경주지진 이후인 2016년 55회, 2017년 9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