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조금
한모금
근소
약간
뉴스
"
소수
"(으)로 총 960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속 1200km로 이동하는 은하계 가장 빠른 별 발견
2015.03.08
있다. 우리은하 내부에 있는 대다수의 별은 태양처럼 일정한 궤도를 도는 반면에 극
소수
별은 은하계 바깥을 향해 날아가고 있다. 이 별들은 대부분 은하 중심부로 향하다가 블랙홀에 의해 받은 힘으로 은하계 밖으로 날아간다고 알려져 있다. 하와이 마우나케아 산 정상에 설치된 지름 10m짜리 ... ...
에볼라 임상실험 서두른다
과학동아
l
2015.02.16
GSK)이 만든 백신이 그 주인공이다. 두 백신은 지금까지 임상시험 1단계(
소수
를 대상으로 한 부작용 실험)로 아직 현장에 투입되지 못하고 있었는데, 에볼라 사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중간 과정을 건너뛰고 바로 3단계(대규모 환자 대상 실험)를 진행하기로 했다. 라이베리아와 시에라리온, 기니 등 ... ...
발렌타인데이의 주인공 '초콜릿'의 상식 6가지
2015.02.06
음식문화평론가 2. 아주 비싼 럭셔리 과자였다. pixabay 제공 초콜릿은 본래 극
소수
상류층만이 맛볼 수 있는 값비싼 사치품이었다. 그러다 20세기가 시작될 무렵 카카오와 설탕 가격이 하락하면서 초콜릿 값도 이전보다 많이 내려갔다. 그래도 여전히 만만치 않은 가격이었다. 당시 ... ...
[동아쟁론]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운전 연장
동아일보
l
2015.01.30
들여 교체해야 한다. 안전성 보완 비용까지 추가로 든다. 중수로는 이런 비경제성 때문에
소수
국가들만 보유하고 있다. 2011년 기준 전 세계 439기 원전 중 중수로는 34기뿐이며 그것도 개발국인 캐나다에 22기가 있다. 캐나다를 제외하면 우리나라에 제일 많은 4기가 있다. 월성 1호기 상업운전 개시 1년 ... ...
[오보카타, 그후 1년] 파면으로 끝난 ‘과학계 신데렐라’
2015.01.30
중에서도 가장 하위 직급이었다. 주임은 이화학연구소에서 가장 상위 직급의 연구책임자
소수
에게만 부여되는 직함이다. 조사위는 오보카타 박사 외에도 이화학연구소 소속의 논문 공저자까지 조사 범위를 넓혔고, 이 중 일부는 결코 책임이 가볍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박사는 ... ...
IS 대원이 되고 싶은 김 군의 뇌 구조는?
2015.01.23
즐기며 ‘나는 남보다 먼저 이들의 진가를 알고 있다’는 식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소수
의 진실을 아는 사람을 세상이 억압하고 있다는 음모론에 빠질 수도 있다. 과학동아 2013년 10월호 , 고호관 기자 개그맨 유세윤의 중학교 2학년 시절 셀프카메라. 이 영상이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연구 65만8610건 가운데 숙취 연구는 0.1%도 안 되는 406건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럼에도
소수
의 과학자들이 숙취를 연구했고 그 결과 몇 가지 사실들이 밝혀졌다. 먼저 숙취 증상이 가장 심할 때는 음주 후 12~14시간 뒤로 보통 다음날 아침에서 점심 사이에 해당한다. 자정 넘게 과음한 사람은 본인뿐 ... ...
성체줄기세포만 쏙쏙 찾는 기술 나왔다
2014.12.09
표지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허 연구원은 “몸속에 극
소수
로 존재하는 성체줄기세포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기술을 개발한 만큼 성체줄기세포를 대량배양해 질병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세포사멸과 질병’ ... ...
[뉴스분석]수험생이 무슨 죄… 1만명 등급조정 대란
동아일보
l
2014.11.25
- 수년째 수능오류 손놓고 있다가… 뒤늦게 ‘외양간 고치기’ - “자연계 상위권 정시,
소수
점에서 당락 갈려” - 理科 최상위권 “수시 최저기준 놓칠수도”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때 얻는 고에너지를 갖게 할 수 있다. 하지만 한 번에 가속할 수 있는 전자의 수가 극
소수
라는 점이 상용화의 걸림돌이었다. 미국 스탠퍼드대 선형가속기센터 연구진은 최근 이런 상황에 돌파구를 마련했다. 무려 5억 개에 이르는 전자들을 한 번에 가속시키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플라스마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