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공학
뉴스
"
유전자공학
"(으)로 총 997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는 우리 몸의 주인일까
2015.05.10
열린책들 제공 ■ 우리는 우리뇌다 (디크 스왑 著, 열린책들 刊) 유전자 외에도 자신이 인간의 주인이라 주장하는 새로운 대상이 등장했다. 우리 뇌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네덜란드 뇌 과학자인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뇌 결정론’에 가까운 주장을 펼친다. 태아 시절 형성된 뇌의 특징에 따라 ... ...
치사율 60%, 진균성 뇌수막염 유발 유전자 대거 발견
2015.04.08
국내 연구진이 진균성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대거 발견하고 그 기능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항진균제와 뇌수막염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뇌수막염은 뇌를 둘러싼 막에 다양한 균이 침투해 생기는 염증을 말한다. 반용선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사진)팀은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집착을 버리면 행동이 죄에 물들지 않는다. 연잎이 물에 젖지 않는 것처럼. - 바가바드 기따 1997년 IMF 사태 이후 내리막길을 걷던 이공계가 최근 뚜렷한 회복세를 보인다고 한다. 취업이 하늘의 별따기인 상황에서 이공계대학 졸업생이 상대적으로 취업률이 높은 게 주된 이유라고 하지만 아무튼 ... ...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생생한 현장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5.04.07
우리나라가 생명과학 연구의 중심국가라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우리나라는 2015년 현재 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줄기세포 치료제 5종 중 4종이 국산일 정도로 생명과학 분야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동아사이언스 이공계 진로찾기 프로젝트 4월 현장 취재는 모든 생명체의 생명현상을 ... ...
‘톡토기’ 전문가에게 듣는 유전자 전쟁사
2015.04.05
사이언스북스 제공 ■ 유전자 전쟁의 현대사 산책 (이병훈 著, 사이언스북스刊) 점프 능력이 뛰어나지만 날개는 없는 절지동물 ‘톡토기’는 몸 길이가 2~2㎜로 낙엽이나 썩은 나무 밑에 산다. 이 책은 톡토기 연구에서는 한국 최고 권위자인 이병훈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종신회원이 톡토기를 연구 ... ...
악성 뇌종양 유발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
2015.03.25
뇌종양을 악화시키는 핵심 유전자를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난치성 암인 뇌종양 치료법 발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형기 고려대 생명공학과 교수(사진)팀은 뇌종양세포의 증식과 악성화를 조절하는 핵심 유전자와 그 기능을 밝히고 과학저널 ‘네이처’ 자매지인 ‘세포 사멸과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
2015.03.09
[동아일보] UNIST를 명문대 반열로 끌어올린 조무제 총장 “8년 전 취임사에서 ‘UNIST를 한국의 MIT(미국 매사추세츠공대)로 만들겠다’고 하자 모두가 웃었죠. 사실 저도 선언적인 의미가 강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정말 가능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한국 대학이 MIT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 ...
GMO 수입량 꾸준한 증가세… 지난 해 1000만 t 넘어
2015.03.03
각국 GMO 수입 현황 - LMO국가통합정보망 제공 2014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 수입된 식용, 농업용 유전자변형생물체(GMO)가 총 1000만 t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3년에 비해 약 22% 증가한 수치로 GMO 수입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는 ... ...
싹둑싹둑 ‘유전자 가위’ 맘놓고 쓸 수 있게 됐다
2015.02.10
인간 DNA를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로 처리한 후 유전체 시퀀싱을 통해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의해 잘리는 타깃 염기서열과 타깃이 아닌 염기서열을 찾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IBS 유전체교정연구단 제공 인간 DNA 속 염기서열 중 특정 부위만 잘라내는 ‘유전자 가위’의 안전성이 국 ... ...
국내 과학자, 세계 3대 저널 자매지 초대 편집위원 선임
2015.02.09
이상엽 교수 - KAIST 제공 국내 과학자가 과학계 3대 저널 자매지의 초대 편집위원을 맡게 됐다. 전 세계 과학자들의 논문을 검토하고 게재를 결정하는 데 한국인 과학자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 것이다. KAIST는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51·사진) 특훈교수가 새롭게 창간될 국제 학술지 ‘셀 시스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