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문' 뜬다는데… 달 보러 가니 그믐달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이용하는 추세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슈퍼문이란 단어를 정의하며 “최근에는 근
지점
에 위치한 달이 보름달일 때로만 제한한다”고 밝혔다. 실제 우주 천문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 관계자도 “슈퍼문은 보름달로 보는 것이 맞다”면서 "비록 정식 과학용어는 아니지만 일부 기관들이 ... ...
KAIST팀, 화학반응으로 달리는 모형차 대회서 1위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아디드자자 씨와 기계공학과 슈브로닐 센구프토 씨 등 6명이 참여해 22.5m 떨어진 목표
지점
에 약 3.5m까지 접근해, 약 5m까지 접근한 서울대 팀을 누르고 차지했다. 우승팀은 본선 진출 자격과 함께 200달러의 상금이 수여됐다. 지도교수인 고동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는 “요오드에 반응물을 넣으면 ... ...
“위성데이터와 IoT가 만나면 지금까지 없던 혁신 서비스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셰인 호손(아마존 웹서비스 그라운드스테이션 총괄). 코리아스페이스포럼/AZA ㅁ$3$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2017년 11월 극궤도위성 ‘JPSS ... 것처럼 느껴지지 않고 휴대전화처럼 보편화돼서 일상의 일부가 될 것이며 바로 이
지점
에서 누구도 예상 못한 혁신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아인슈타인 이론, 먼 우주-블랙홀에서 다시 한번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변화를 분석했다. 당시 S0-2는 사수자리A별에 지구에서 태양 사이 거리의 120배에 해당하는
지점
까지 접근했고, 공전속도는 빛의 속도의 2.7%까지 빨라졌던 것으로 관측됐다. 블랙홀에 의한 강력한 중력 영향을 시험하기 좋은 환경이었다. 연구팀은 이 별의 빛 파장이 길어지는지 또는 빨라지는지 ... ...
대학원생 절반 이상 "교수들 제자 진로에 관심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해당 항목들은 청년과학자와 지도교수 간 보다 활발한 의사소통이 필요한
지점
이라고 판단돼 지도교수의 보다 깊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태양풍으로 날아가는 '우주 돛단배' 시험 비행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모습을 지구상에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때가 가끔 있는데, 행성협회에서 관측 가능
지점
을 알리겠다"고 말했다. 칼 세이건의 딸이자 천문학자인 사샤 세이건은 "라이트세일 2호는 우주에서 성간 여행을 할 수 있는 방법 중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다"며 "이번 미션이 성공하면 우주여행에서 ... ...
열대 바다 차가워지면 남극 작은 동물도 생존전략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발생하고 남극에 기압이 낮았던 2013년에는 동물 플랑크톤이 약간 얕은 수심 465m
지점
까지밖에 내려가지 않았고, 머문 기간도 90일 가량으로 2010년의 절반이 채 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2013년의 남극 기후 환경을 분석해 이유를 밝혔다. 당시 아문센해에서는 햇빛을 막는 바다 얼음이 두껍게 발달했고, ... ...
IBS “伊연구팀, 암흑물질 후보 ‘윔프’ 관측 주장 사실 가능성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IBS 이 부연구단장팀은 다마 팀의 연구 결과를 교차 검증하기 위해 강원도 양양 지하 700m
지점
에 다마 팀과 같은 고순도 요오드화나트륨 결정 106kg 설치해 2016년부터 암흑물질을 관측하고 있다. 이번에 연구팀은 다마 팀이 신호의 연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016년 10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약 1년 10개월 ... ...
반도체 기술 접목해 열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열전 재료’ 효율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얇은 산화 아연층을 입히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통해 열전 성능 최적화
지점
을 찾아 성능을 기존보다 50% 이상 향상시켰다”며 “열전재료를 대량 생산하는 데 널리 쓰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성근 연구원은 “실제 양산에서 이용되는 반도체 공정을 접목했다. 앞으로 열전 ... ...
中 우주정거장 ‘톈궁 2호’ 곧 폐기...한반도 추락 가능성은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우주정거장 '톈궁 2호'의 낙하 예상
지점
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중국이 2016년 발사해 최근까지 운영하던 유인 우주정거장 ‘톈궁 2호’가 수명을 마치고 폐기 절차에 들어갔다. 톈궁 2호는 19일 임무 고도인 380km대에서 서서히 고도를 낮춰 대기권에 진입해 최종적으로 남태평양 해역에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