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345건 검색되었습니다.
4000년 전 해골에 새겨진 식인 흔적…'인간의 뿌리 깊은 마음'
과학동아
l
2025.03.02
본성의 어두운 천사'. 2024년 12월 16일 릭 슐팅 영국 옥스퍼드대 고고학부 교수팀이 국제
학술
지 '앤티퀴티(Antiquity)'에 발표한 논문 제목이다. 어두운 천사는 영국 초기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지, 차터하우스 워렌에서 발굴됐다. 1970년대 영국 남서부 지역에 위치한 이곳의 석회암 고원에서 ... ...
[헬스토크] 하루 4시간 디지털 스크린 노출 시 근시 위험 약 2배
동아사이언스
l
2025.03.02
서울대병원은 김영국 안과 교수 연구팀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네트워크 오픈’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디지털 스크린 노출 시간과 근시 사이의 관계를 규명한 첫 번째 메타분석 연구다. 근시 예방을 위한 디지털 기기 사용 ... ...
[표지로 읽는 과학] 첨벙대고 회전하고…먹이 신호에 신난 거북
동아사이언스
l
2025.03.01
제공. 이번 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표지에는 물속을 헤엄치는 어린 붉은바다거북의 모습이 실렸다. 이 거북이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목표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카일라 고포스 미국 텍사스A&M대 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붉은바다거북이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특정 장소를 기억하고 ... ...
국제우주정거장의 멸균 환경, 우주 비행사 건강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캘리포니아대(UC 샌디에이고)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셀'에 2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미생물 다양성은 지구의 인공 환경보다 현저히 낮다”고 원인을 진단하며 “자연에서 유래한 미생물이 더 많아지면 우주비행사의 건강 ... ...
[사이언스게시판] 방위사업청-우주항공청, '제1회 민·군 우주개발사업 발전 국장급 협의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출연연별 모집 일정에 따라 진행된다.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는 교육·
학술
분야서 업적이 뛰어나고 학교발전에 공로가 큰 과학기술인 11명을 명예교수로 추대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명예교수로 추대된 교원은 곽상수·권기선·문제선·추인선(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쿨), 김이환 ... ...
육식동물 소화기관 가진 판다가 고기 안먹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들어가 대나무 기반 식단에 적응하도록 만든다는 점을 발견하고 연구 결과를 28일 국제
학술
지 ‘수의학 프론티어’에 발표했다. 자이언트 판다는 주요 먹이 공급원인 대나무를 잡기에 용이한 여섯 번째 손가락과 대나무를 부수기에 적합한 이빨을 갖고 있다. 하지만 소화기관은 육식동물처럼 ... ...
유방암 수술, 절개 방식에 따라 '감각 상실' 정도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이후 환자 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국제외과학회지’에 지난해 12월 게재됐다. 정준·국윤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 - doi.org/10.1097/JS9.000000000000215 ... ...
뇌졸중, 빛과 소리로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질환 연구에도 새로운 실험적 접근법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지난해 12월 게재됐다. - doi.org/10.1002/advs.20240936 ... ...
양자컴 오류 정정 효율 높이는 '고양이 큐비트'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드는 자원 효율성을 대폭 개선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26일(현지 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큐비트는 어떤 물리적 상태가 하나로 정해지지 않고 여러 상태가 확률적으로 동시에 존재하는 양자중첩 현상을 활용해 계산을 수행한다. 고전컴퓨터로는 계산이 너무 오래 걸려 ... ...
15만년 전 인류, 열대우림에도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15만년 전 아프리카의 습한 열대우림에 살았다는 증거를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27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열대우림은 1년 내내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이 내리며 나무가 많은 삼림 지역이다. 초기 인류는 빽빽하게 나무가 우거진 열대우림보다는 호수나 강 근처에서 물을 확보하면서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