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유로네트워크로 「하나의 유럽」 완성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있다. 트랜스래피드-07의 전신인 트랜스래피드-06은 1988년에 시속 4백12km의 기록을 냈다.
계속
연구개발중이어서 정확히 언제 실용화될 지는 예측하기 곤란하지만 독일정부에서는 실용화할 노선을 이미 결정해 놓은 상태다. 그러나 일반철도와의 연계성문제로 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등 국지적인 ... ...
'인간 게놈 염기배열 특허대상 안된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우위성을 유지하려는 미국 정부의 방침이 확고해 인간유전자에 대한 지적소유권화를
계속
해 추진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직접 나서 미국 특허상표국에 급하게 심의를 요청했다는 얘기도 들리고 NIH는 거절됐을 경우를 대비해 재심요청 방침까지 마련해놓고 있다.당사자인 벤터 박사는 7월 중순에 ...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북서쪽 수로는 항해하기 어렵다. 북빙양에는 두께 3~4m의 해빙이 상당히 많고 눈이 몇년간
계속
해서 쌓이면 더욱 두꺼워져 경우에 따라서는 사람이 그 위에서 활동할 수도 있다.북빙양의 해빙은 바다에서 만들어지므로 북극곰과 함께 북극탐험에 가장 무서운 장애물의 하나가 되고 있다. 해빙 틈으로 ... ...
죽어서도 영원히 사는 미이라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도굴범에 의해 자신의 영원한 휴식처가 짓밟히고 유린당할 것을 뻔히 알고도 무덤을
계속
만든다. 이는 그들의 종교적 내세관대로 영원한 생을 즐기기 위함이다. 그래서 죽어서도 영원히 살 수 있는 미이라가 되는 것이다 ... ...
촉매 건조제 이온교환제로 유망한 신비의 「끓는돌」 제올라이트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분자체가 출현했으며 그밖에 여러 종류의 원소들이 골격내에 포함된 분자체가
계속
합성되고 있다.규소와 알루미늄으로만 이뤄진 제올라이트가 수백종에 달하는 것을 생각하면 다른 원소들을 골격에 넣은 것의 수는 앞으로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늘어날 것이다. 실제로 1990년대에는 이들의 새로운 ... ...
과학엘리트 12인의 삶과보람 「그래서 나는 실험실 불을 끌 수 없었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에디슨 전기를 읽었다. 돌이켜보면 운명은 실로 하찮은 우연에서 결정되는 것 같다. 그후
계속
하여 과학자를 존경하고 탐구자의 길을 동경하는 소년 시절을 보냈다. 입시지옥을 겪으면서 한때 잊고 지내기도 했고 또 한때는 다른 길을 생각해보기도 했지만 어린 시절에 우연히 결정된 길을 바꾸진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상위고-에는 조선 선조25년, 1592년 11월 28일에 미라의 발견 기록이 나온다.)그후 이 별은
계속
적인 관측으로 신성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그 주기도 정밀하게 조사됐다. 이 별을 고래자리 오미크론(O)별로 기록한 사람은 1603년 역시 독일 사람 베이어(J. Bayer, 15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잘려도 윗부분의 뿌리에서 수분과 양분을 흡수할 수 있어서 어떤 역결이 닥쳐와도
계속
해서 절벽을 타고 올라간다. 무지한 사람들은 넉줄고사리의 덩쿨을 똘똘 말아서 자기 집의 처마 밑을 장식하기도 한다. 포자낭은 잎 가장자리에 있는 컵모양의 포막 속에 들어 있다.이끼 틈에서 좀고사리를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천체물리학자)는 표준모델은 아직 과학이론으로서는 유아에 지나지 않지만
계속
해서 성장하고 변화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 모델은 물론 모두는 아니지만 많은 테스트를 통과했다. 아직은 완전하지 않다. 약간의 수정이 필요하다."무소츠키 박사는 표준모델이 최근 수년 사이에 천체물리학을 강타한 ... ...
4 차세대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 실용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처음 나왔을 때 사람들은 이를 '해괴한 전지'(電池)라고 불렀다. 필요한 에너지를
계속
공급 받으면서 또 연료가 덤으로 생기니 이제 더 이상 에너지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사실 고속증식로 기술이 완벽하게 확보되면 우리 인류는 앞으로 수백만년 동안 전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 ...
이전
886
887
888
889
890
891
892
893
8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