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스코 시스템즈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또다시 필요한 기업을 사냥한다는 식이다. 이런 방식으로 시스코는 라우터, 스위치, 허브(
여러
개의 워크스테이션을 LAN에 접속하는 장치), ATM(비동기식데이타전송모드) 등 인터넷 통신장비분야에서 어느 기업보다 다양한 제품군을 갖추게 된다.시스코는 절대로 대기업이나 자신들과 비슷한 규모의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고 인간은 그 위에 사는 가장 존엄한 존재였는데, 이제 인간은
여러
행성들 가운데서도 비교적 작은 별에 거꾸로 매달려 돌아가는 존재임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인간은 우주 안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다시 생각해야 했으며, 부질없는 꿈에서 깨어나야 했다.해보기1.금성은 왜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ALVINN)은 스스로 운전 기술을 익힐 수 있다.방법은 간단하다. 인간이 내브랩에 타고
여러
상황에서 운전을 하면 된다. 인간은 운전을 하는 도중 도로의 커브 정도나 지면상태를 눈으로 보면서 적절하게 핸들을 꺽는다. 내브랩에 장착된 카메라는 인간의 눈처럼 도로의 상태를 계속 감시하고, 다른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x값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면 y값이 무려 17.35나 달라지게 된다. 이런 일이
여러
번 계속된다면 y값은 전혀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이처럼 비선형 항에 의해 변수 값의 작은 변화가 결과 값에 큰 변화를 미치는 효과를 ‘나비 효과’ (북경에서 나비가 펄럭이면 뉴욕에 폭풍이 몰아친다)라고 ... ...
양자세계의 토끼 사냥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세상이 양자역학적 세상이 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양자역학적 세계가 가지는 특징은
여러
가지 물리량이 매우 작다는 것이다.어느 정도 작을까.자연계에 존재하는 상수 중 h로 표현되는 플랑크 상수(6.63×${10}^{-34}$J초)수준이다.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플랑크 상수는 매우 작다.그런데 플랑크 ... ...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하마동물원이란 별명이 있었다. 해외 선진 동물원에서도 유례가 드문 하마의 번식을
여러
차례 성공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차대전 때 식량부족과 폭격위험을 빌미로 도태됐다. 그후 하마가 다시 들어온 때는 1957년. 네덜란드에서 온 어린 하돌이, 하순이는 잘 자라 1968년부터 1982년 사이에는 무려 1 ... ...
생각만으로 전등을 켜고 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형태로 통일되게 말한다면 무슨 말인지 알 수 있다. 연구자들이 감지하고자 하는 것도
여러
개의 뉴런들이 동시에 “바로 그거야”라는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신호를 감지하는 것이다.이러한 시스템의 최대 수혜자는 장애인이다.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소등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 ... ...
실제 물리현상을 다루는 편미분방정식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고려하면서 실제의 물리현상을 기술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물리학에서는 변수가
여러
개인 상황 속의 변화를 기술하는 수학적 방법으로 편미분방정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강물이 흐르는 것을 기술할 때는 네이비어-스톡스 방정식이라는 편미분방정식을 쓰는 것처럼, 실제 자연에서 ... ...
② 청각 : 원하는 소리만 듣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개발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넓은 회의실에 둘러 앉아 스피커폰 한대를 통해
여러
명이 상대와 통화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만일 스피커폰에 마이크가 한대만 설치돼 있다면 마치 사람이 귀가 1개일 경우처럼 어느 위치에서 누가 얘기하는지 스피커폰이 감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3개 이상의 ... ...
④ 행동 : 일사불란한 작전 펼치는 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통해 주변의 정보를 인식하고 다른 개체와 협조행동을 할 수 있는 자율이동로봇이다.
여러
대의 자율이동로봇으로 구성된 다중 분산지능 시스템에서 한가지 목적 아래에 협조작업을 수행하려는 경우 로봇간의 통신이 반드시 필요하다. 만약 통신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수준의 협조행동을 실현하기 ... ...
이전
888
889
890
891
892
893
894
895
8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