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나설 수 있다고 해요. 매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줄을 묶은 채로 하는‘줄밥 훈련’부터
시작
합니다. 줄 없이도 주인의 명령을 따르게 되면 비로소 사냥을 할 수 있는 매가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이렇게 길들여진 매라고 해도 며칠만 사람의 손을 타지 않으면 금방 야생으로 돌아간다고 해요. 무엇보다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백신은 1990년대 초반 미국 과학자 찰스 안첸이 아프리카에서 백신 바나나를 연구하면서
시작
됐어요. 가난한 아프리카 어린이들이 바나나를 먹으며 질병을 예방하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했죠. 주사 백신은 저장, 수송 과정에서 변하기 쉬워 저개발 국가들이 이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먹는 백신 중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근교의 전력거래소에서 처음으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가
시작
됐다.2월초 비공식 거래가
시작
된 이산화탄소 배출권은 지난해 t당 5달러 수준에서 현재 10달러 수준으로 뛰어올라 이산화탄소가 돈이라는 사실을 실감나게 했다. 이 거래소는 2년 안에 온실가스 거래 규모가 200억달러(20조원)에 이를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갈색구름이 지구를 뜨겁게 만들지 차갑게 만들지도 분명치 않다. 아시아 ABC 연구계획을
시작
으로 갈색구름의 비밀에 한 걸음 더 다가가고 있을 뿐이다. 고산에서 갈색구름 잡는다지난 3월 3일부터 한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 미국, 스웨덴 등 전세계 50여개 기관에서 많은 과학자들이 각자의 관측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새로 붙게 된다. 하나로의 이 새로운 프로젝트는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주목받기
시작
했다. 이미 국내 연구자들과 이용자들은 냉중성자 장치의 공동 개발에 나섰고 해외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도 결성됐다.현재 일부기술에 대한 국산화도 어느정도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핵심 기술인 ... ...
엘리베이터에서 방귀 뀌면 유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엘리베이터를 탔다. 사고로 엘리베이터가 멈춘 사이 은근히 작업을 걸던 김양. 로맨스가
시작
되는가 싶더니 갑자기 ‘뽀옹’하는 소리가 들렸다. 엘리베이터 안은 김양의 방귀 냄새로 가득 찼다. 코가 예민한 견씨는 쓰러졌고 병원으로 실려갔다. 견씨는 방귀를 뀐 김양을 법정에 고소했다.”세상에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아무 것이나 생각나는 대로 채워넣게 하면(예를 들어 ‘우○’를 보여주면서 ‘우’로
시작
하는 두 글자 단어 중 아무 단어나 말하도록 한다) 목록에서 봤던 단어를 채워넣는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즉 이전에 봤던 단어들이 의식적으로 접근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저장돼 있다가 이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등과 공동으로 사막화방지를 위해 건조에 잘 견디는 식물 개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
했다. 최근에는 국립산림과학원과 함께 바람도 막아주고 물이 부족한 마른 땅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형질전환 포플러를 개발하고 있다.경상대 생화학과 이상열 교수도 식물의 특정 단백질이 환경과 스트레스의 ... ...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정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우주정거장 미르에서 작고 푸른 난쟁이밀을 재배하는 등 적극적으로 우주정원을 가꾸기
시작
했다. 미국도 같은 해 우주에서 애기장대를 재배해 40일 만에 열매를 맺게 하는데 성공했다. 세계 15개국이 함께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도 우주정원을 경작하고 있다.우주정원에서 자라는 식물은 ... ...
가상공간에 세운 디자이너의 작업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남 교수의 연구는 ‘어떻게 하면 디자인을 편리하게 잘 할 수 있을까’란 고민에서
시작
했다. ‘디자인을 디자인하는 과학’은 남 교수팀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과학이 디자인한 디자인남 교수 연구팀은 우선 가상공간에 작업장을 마련하는 계획을 세웠다. 가상현실과 초고속 ... ...
이전
889
890
891
892
893
894
895
896
8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