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뉴스
"
이후
"(으)로 총 12,730건 검색되었습니다.
WHO, 인간 유전자편집 임상 중단 및 국제적 등록기관 권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지난해 11월 허젠쿠이 난팡과기대 교수가 유튜브를 통해 유전자 편집 기술로 에이즈에 면역력을 가진 '디자이너베이비'를 탄생시켰다고 밝혔다. 유튜브 제공 세계보건기구(WHO)가 유전자 편집 전문가 위원회를 꾸리고 인간 배아에 대한 유전자 편집과 관련된 모든 임상 연구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라 ... ...
'수학 노벨상' 아벨상 첫 여성 수상자에 '수학계 여성 롤모델' 울렌베커 교수
2019.03.20
연구를 이어가던 울렌베커 교수는 1980년대 초 비누거품 문제를 해결하고 주목을 받은
이후
1987년 텍사스대 교수로 임용됐고, 1990년에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서 58년 만에 여성 두 번째로 기조 강연을 했다. 첫 번째는 1932년에 기조 강연을 했던 독일 수학자 에미 노에터다. 울렌베커 ... ...
누구나 '엑소브레인' 만들 때까지…ETRI, 인공지능 API 추가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개발 진입 장벽을 낮추고 인공지능(AI) 관련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지난 2017년
이후
공개한 AI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가 총 1164만 건 이상 활용됐다고 20일 밝혔다. 또 위키백과 질의응답이나 다국어 음성인식 등을 추가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ETRI는 “올 하반기에는 법령 질의응답이나 ... ...
대한지질학회, 학술적 이견 불구 "포항지진은 촉발지진" 공식화 문제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계산했다고 밝혔다. 이 결과는 지진 발생의 시공간적 분포와 일치했다. 물 압력을 받은
이후
에도 공극압이 계속 확산되면서 시간적인 지연이 일어났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포항지진을 포함해 지열발전 실증부지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들의 진원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속도모델을 ... ...
포항지진 진원지 위치·지진 후 지하수위 변화…지난해 연구와 다른 점은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나타났다. 포항지진의 단층이 지열정을 지나가기에 파손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포항지진
이후
2번 지열정 속을 영상 분석한 결과 3783m 깊이부터 알 수 없는 이유로 영상 촬영이 불가능하다는 점도 이 지역이 지진의 영향으로 끊겨나갔다는 것을 뒷받침한다고 제시했다. 조사단은 포항지진이 물 ... ...
포항지진은 촉발지진…진원 깊이 등 남은 쟁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다른 곳의 경우 물을 주입하고 지진이 수일 내 발생했지만 포항지진은 물을 주입한
이후
두 달 만에 발생했다”며 “이것이 유발지진일 경우 수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유발지진이 발생한다는 새로운 증거”라고 언급했다. 포항지진과 같은 큰 지진을 유발하려면 지열발전을 위해 주입한 물보다 ... ...
현대모비스, 러 인터넷기업 얀덱스와 '로보택시' 플랫폼 개발
2019.03.20
전했다. 먼저 올해 말까지 자율주행 플랫폼의 제작과 성능 검증을 마치기로 했다.
이후
내년부터는 러시아 전역에서 해당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무인 로보택시를 최대 100대까지 운영하면서 사업성을 검토하고, 점차 서비스 지역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현재 얀덱스는 러시아 2개 도시에서 ... ...
조동호 후보자 “차남 군대 휴가 문제 없어 주소 전입은 송구” 해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당시 근무하던 대학인 경희대 수원캠퍼스에서 멀지 않아 안성으로 주소이전을 했다.
이후
자식 교육 등을 이유로 서울로 이전했다”고 설명했다. 조 후보자는 “당시는 돌아가신 선친만 생각해 개인적인 입장만을 고려했다. 관련 규정을 소홀히 한 점에 대해서는 사과를 드린다”고 밝혔다. ... ...
러·美 사이 베링해 상공서 대형 유성 폭발…100년마다 두세번꼴 희귀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우랄 산맥 남동쪽 미아스 강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의 첼랴빈스크 상공에서 일어난 폭발
이후
로는 가장 큰 폭발이다. 이번에 진입한 유성체는 소행성에서 떨어져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유성체는 보통 소행성이나 혜성에서 떨어져 나온다"며 "궤도를 비롯해 ... ...
[전문의가 본 당뇨병] 임신 중 고혈당, 20년 내 당뇨병 확률 최대 50%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임신 중 태반 호르몬이 인슐린 저항성 증가시켜 임신성 당뇨병 환자는 특히 임신 20주
이후
에 인슐린 저항성이 떨어져 혈당이 높아진다. 국제당뇨병센터 제공 당뇨병은 췌장 기능이 떨어져서 인슐린이 잘 분비되지 않거나,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서 생기는 질환이다. 유전적으로 인슐린이 잘 ... ...
이전
890
891
892
893
894
895
896
897
8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