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관
동물
d라이브러리
"
동물기관
"(으)로 총 1,0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12
유전자조작기술 하이브리도마기술 미세조작기술은 선진국 수준이지만 발효기술 세포배양기술 추출정제기술은 낙후돼 있다.한국의 유전공학은 지금 기로에 서 있다. 10년전 떠들썩하게 시작할 때와는 달리 착 가라앉은 듯한 분위기를 여기 저기서 느낄 수 있다. 특히 심한 곳은 산업계다. 예상한대 ... ...
폭우가 쏟아지면 잎으로 우산을 만들고
과학동아
l
199011
그들의 지능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훈련과 경험을 통해 달라질 수 있다.1959년 12월 나는 미국의 마이애미에 있는 수족관에 간 적이 있다. 그곳에서 처음으로 돌고래가 지휘자의 신호에 따라 여러가지 묘기를 부리는 것을 보았다. 참 영리한 동물이라고 감탄하면서 흥미롭게 구경했던 기억이 지금 ... ...
도도새 같은 죽음
과학동아
l
199011
오래전 멸종된 도도새의 새로운 모형이 에딘버러에 있는 스코틀랜드 왕립 박물관의 키치너씨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 새로운 모형의 도도새는 흔히 생각해 왔던 것보다 훨씬 멋있어서 그 새가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슬픔만 더해주고 있다.도도새와 인류와의 관계에 관한 역사는 지난 1510년도에 ... ...
마늘, 약으로 쓰일수 있나
과학동아
l
199010
민간전승요법에서 사용돼온 마늘이 현대과학으로 새롭게 규명되고 있다.'하루 한두쪽씩의 마늘을 먹으면 무병장수할 수 있다' 지난 수천년간 민간전승 요법으로 전해온 이 속설을 이제 현대의 과학자들이 규명하러 나섰다.지난 9월 워싱턴에서는 마늘의 성분과 그 효능에 대한 의학자, 일반시민들 ... ...
거북
과학동아
l
199010
대부분은 되뒤집기 기술을 갖고 있지만 뒤집히면 죽는 종(種)도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학 1천년 거북이 1만년'이라고 해서 '거북'을 장수의 상징처럼 여겼다.거북이 1만년을 산다는 이야기는 믿기 어려우나 실제로는 대개 1백세까지 살고, 최고 오래 산 거북은 2백세에 이른 놈도 있다고 한 ... ...
생태계의 사고(史庫),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9010
과거와 현재에 존재한 인간과 인간이외의 모든 생물은 물론 이웃 행성의 진화에 이르기까지 자연사박물관의 관심영역은 방대하다.얼마전에 정부는 국립자연사(自然史) 박물관 건립계획을 밝혔다. 또 최근엔 서울시가 역시 현재의 용산 미군기지가 이전하면 그곳에 자연사박물관을 세운다고 발표 ... ...
PART IV 알라에서 트리할로메탄 까지
과학동아
l
199009
우리생활주변의 식품 의약품 농약 등에는 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이 다수 포함돼 있다.'담배연기에는 발암물질이 있다.' '음식을 싸는 비닐랩이나 농약이 묻은 과일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되었다.' '수도물에는 발암물질이 존재한다.' 최근 신문이나 잡지 텔레비전 등에 자주 오르내리는 말들이다. 이 ... ...
「얌체새」 뻐꾸기의 번식법
과학동아
l
199009
새중에는 둥지를 짓지도 새끼를 기르지도 못하는 새가 있다. 바로 뻐꾸기다.문제1. 뱀이 먹이에 접근하거나 돌아다닐 때 포크처럼 갈리진 혀를 날름거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뱀은 왜 혀를 날름거리며 다닐까?① 갈라진 혀로 냄새를 맡는다.② 다른 동물에게 겁을 주기 위해서다.③ 날아 다니는 벌레 ... ...
수컷은 훨훨, 암컷은 자루 속에
과학동아
l
199008
수컷은 여느 나방처럼 훨훨 날아다니지만 암컷은 일생동안 도롱이 속에 갇혀 사는 왕도롱이 나방의 생태를 살펴보자.나비목에 속하는 왕도롱이나방 또는 왕도롱이벌레(Clania formosicola, STRAND)라는 것이 있다. 성충에 해당하는 왕도롱이나방은 수컷이고 왕도롱이벌레(몸길이가 30mm내외)는 암컷이다.이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008
미·일중심의 전통적 과학기술협력단계에서 소련 중국 유럽 개도국의 비중이 높아지는 다변화시대로 접어들고 있다.과학계에 국제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해 '기초과학의 원년'을 주창했던 과기처가 올해에는 해외과학기술교류를 최대의 중점사업으로 표방하고 나섰고, 대통령의 일본방문과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