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염
경구감염
경구
경귀
자가감염
자가
자가보험
d라이브러리
"
감염
"(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퍼펙트 센스 - 모든 감각을 잃은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등장으로 영화는 시작된다. 물론 영화 속에서만 존재하는 바이러스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
된 사람들은 극심한 슬픔을 경험한 뒤 더 이상 냄새를 맡지 못하게 된다. 트럭 운전사가 차를 세우고 눈물을 흘린다. 마트 점원이 계산을 하다 말고 주저앉아 흐느낀다. 인생에서 가장 슬펐던 일들을 떠올리고 ... ...
사람도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보이게 한다.[➊ 조직을 채취하기 전균 배양 검사를 통해 조직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
됐는지 확인한다. ➋ 채취한 뼈의 크기를 재고 있다. ➌ 채취한 대동맥은 극저온의 냉동고에 보관한다.]채취한 조직은 극저온에서 냉동보관장기기증은 대개 뇌사 상태에서 진행된다. 그러나 조직기증은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탈리층 주변의 세포들도 변화하는데 이 경우 탈리층이 분리돼 외부에 노출되면서 상처나
감염
에 취약해 질 수 있기 때문에 세포가 전체적으로 단단해지는 쪽으로 바뀐다. 즉 잎이 떨어져 외부로 노출되기 전에 물관과 체관이 폐쇄되고 수베린과 리그닌 같은 물질이 세포안에 쌓이면서 세포가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기능도 추가했다. 연구팀은 이 슈퍼 피부를 로봇에 적용하면 사람의 땀만 만지고도 병의
감염
이나 음주 여부를 알아낼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3월 11일자에 발표됐다. [미국 스탠포드대 제난 바오 교수는 인간 피부보다 1000배 민감한 피부를 개발하고 올해 초 ... ...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해왔다. 선천성 면역이 후천성 면역을 활성화하는 원리를 응용해
감염
질환을 예방하는 백신이나 암 치료제를 개발하는 의학 혁명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9월말 작고한 슈타인만 박사도 자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신의 췌장암을 치료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필자는 이번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바이러스의 변형인 ‘신종플루’가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다. 국내에서만 76만여 명이
감염
됐고 270명이 사망했다. 사람뿐 아니라 동물도 바이러스에 시달린다. 지난 겨울철에는 사상최악의 구제역이 돌아 많은 동물이 살처분됐다. 바이러스는 분명 두려운 존재다.바이러스, 친구인가 적인가면역력이 ... ...
[과학뉴스] 결핵균 숨겨 주는 투명망토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의의를 밝혔다.작년 국제보건기구(WHO)의 조사결과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결핵균에
감염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조사에서 매년 200만 명이 결핵으로 사망한다는 사실도 추가로 밝혀졌다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크다. 2009년 4월 처음 발견된 신종인플루엔자는 1년 내에 214개국에서 수백 만명을
감염
시키고, 그 중 1만 8,000명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다시 등장한 전염병 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에 의해 걸리는 전염병이 다시 유행하고 있다. 실제로 폭염이 잦았던 지난 2009년에는 말라리아로 86만 3000명이 목숨을 ... ...
애벌레가 나무를 내려오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바이러스를 사방으로 퍼뜨리고 이 물질에 닿은 나방이 낳은 알 역시 배큘로바이러스에
감염
된다.배큘로바이러스가 매미나방 애벌레의 행동에 변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어떻게 애벌레의 행동에 변화를 주는지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연구팀은 매미나방 ... ...
고양이에게 달려드는 쥐, “암컷으로 착각해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영역도 함께 활성화됐다. 두려워하면서 동시에 끌리기도 한다는 뜻이다. 실제로
감염
된 쥐는 고양이 오줌 냄새가 나는 곳을 떠나지 않고 정상 쥐보다 1.4배 더 오래 머물렀다. 패트릭 하우스 연구원은 “톡소플라스마가 편도체 내에서 두려움과 매력을 느끼는 영역을 서로 엇갈리게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