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냠냠!어수잼] 산타의 창고를 찾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4호
- 산타 할아버지는 선물을 도둑맞을 것을 대비해 정확한 창고의 주소를 아무에게도 알려주지 않았어요. 대신 메리, 크리스, 마스에게는 쌓기나무* 그 ... 6개로 만들어진 정육면체 모양 나무 조각을 ‘쌓기나무’라고 해요.쌓기나무여러개를위,앞, 옆으로 쌓아서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지요 ... ...
- [냠냠! 어수잼] 남은 선물을 어떻게 쌓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4호
- 산타 할아버지는 선물 배송을 무사히 마친 메리, 크리스, 마스에게 남은 선물 상자가 몇 개인지 세서 알려달라고 부탁했어요. 그리고 남은 선물 상자를 깔끔하게 ... 쌓아보고, 요리조리 돌려볼 수 있어요. 알 지오매스는 한국과학창의재단과 교육부가 함께 개발한 온라인 프로그램이에요 ... ...
- [특집] 히파르코스에서 히파르코스까지 별 지도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별 지도를 그릴 목적으로 발사한 최초의 관측기기예요. 히파르코스 위성은 발사 후 100만 개 이상의 별의 거리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했습니다. 별의 특성을 파악하고 별의 구조와 진화 연구 등에 기여했지요. 1993년 히파르코스 위성의 임무종료 이후 ESA는 ‘가이아 위성’을 발사해 현재까지 별 ... ...
- [과학뉴스] 소변이 튀지 않는 가장 과학적인 소변기 모양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그런데 지난 11월 22일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자오 판 교수 연구진이 “개와 앵무조개를 모방해 소변 방울이 튀지 않는 소변기를 설계했다”고 밝혔어요. 연구진은 먼저 수컷 강아지의 오줌 누는 모습을 관찰했어요. 강아지는 다리를 들어 소변 줄기가 나무나 전봇대와 30° 각도를 이루게 소변을 ... ...
- [멍냥과학] 스트레스 받았다고? 개들은 냄새로 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받았을 때 훈련된 개들이 정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어요. 이어 “개들이 정확히 어떤 물질을 감지하는지, 또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감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답니다 ... ...
- 미션3. 디저트 메뉴를 만들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7개 더 많지요. 두 재료를 같은 양으로 만들려면 쿠키 장식 7개를 빼거나, 구슬 장식 7개를 더해야 해요.또, 밀가루는 700g, 옥수수가루는 350g이 남아서 밀가루가 350g 더 많네요. 생크림은 270g, 초콜릿크림은 200g이 남아서 생크림이 70g 더 많아요. 이처럼 두 수를 비교하면 서로의 양이 얼마나 차이 ...
- [특집] 영생 꿈꾼다! 달에 도착할 DNA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결정 중 하나는 지구에 있는 고객에게 돌려주고, 다른 하나는 1GB(기가바이트)의 고객 개인 정보가 담긴 데이터와 합쳐 타임캡슐 형태로 달로 다시 보낼 계획이에요. 이 프로젝트에 대해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비해 우주에 우리의 존재를 보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죠. 이 서비스는 우리 ... ...
- [과학 뉴스] 대왕고래는 매일 미세 플라스틱 1000만 개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매일 빼놓지 않고 먹는 것은 안타깝게도 ‘미세 플라스틱’이에요. 그것도 1000만 개에 이를 만큼 어마어마한 양이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홉킨스연구소 메튜 사보카 연구원과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샤이럴 카헤인라포트 연구원은 지난 11월 2일, 대왕고래를 비롯해 수염고래들이 하루 약 43. ... ...
- [가상 인터뷰] 우주의 유령 ‘중성미자’가 남극 얼음에서 발견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할젠 교수팀은 지구로부터 4700광년 떨어진 고래자리 A은하에서 날아온 중성미자 79개를 검출했다고 발표했어요. 아이스 큐브는 2018년에 처음으로 지구로부터 37억 광년 떨어진 오리온자리 블랙홀에서 나온 중성미자를 발견했는데, 이번에는 100배나 가까운 곳에서 나온 중성미자를 확인한 거랍니다. ... ...
- [기획] 게임을 가르치다! 미니 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뇌세포와 사람의 줄기세포를 미세 전극판으로 된 접시에 배양했어요. 그 결과 80만 개의 뇌세포들이 만들어졌지요. 연구팀은 ‘접시 속의 뇌’라는 의미로 이를 ‘디시브레인(Dish+Brain)’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연구팀은 미니 뇌(뇌세포들)가 퐁 게임을 할 수 있게 컴퓨터와 연결했어요. 그리고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