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냠냠!어수잼] 산타의 창고를 찾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4호
- 산타 할아버지는 선물을 도둑맞을 것을 대비해 정확한 창고의 주소를 아무에게도 알려주지 않았어요. 대신 메리, 크리스, 마스에게는 쌓기나무* 그 ... 6개로 만들어진 정육면체 모양 나무 조각을 ‘쌓기나무’라고 해요.쌓기나무여러개를위,앞, 옆으로 쌓아서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지요 ... ...
- [냠냠! 어수잼] 선물이 대체 몇 개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4호
- “우와~! 여기가 바로 산타 할아버지의 창고구나!”산타 할아버지의 창고 안에는 여러 마을로 보내야 할 선물이 나뉘어 쌓여 있었지요. 메리, 크리스, 마스는 ... 쌓기나무를 위에서 바라본 모양과 같으므로, 위에서 바라본 모양의 각 자리에 쌓기나무가 몇 개 쌓여있는지를 세어도 되지요 ... ...
- [특집] 히파르코스에서 히파르코스까지 별 지도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별 지도를 그릴 목적으로 발사한 최초의 관측기기예요. 히파르코스 위성은 발사 후 100만 개 이상의 별의 거리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했습니다. 별의 특성을 파악하고 별의 구조와 진화 연구 등에 기여했지요. 1993년 히파르코스 위성의 임무종료 이후 ESA는 ‘가이아 위성’을 발사해 현재까지 별 ... ...
- [오늘부터 우리는! 행복한 동물원] 좋은 동물원은 매일매일 새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등의 요인으로 동물이 의미 없는 행동을 비정상적으로 반복하는 증상. ○필자소개송혜경(에버랜드 주토피아기획그룹 프로)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동물원수족관학을 공부하고 현재는 에버랜드 동물원(주토피아)에서 동물 복지와 보전을 담당합니다. 동물원을 통해 사람들이 야생동물과 ... ...
- [멍냥과학] 스트레스 받았다고? 개들은 냄새로 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받았을 때 훈련된 개들이 정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어요. 이어 “개들이 정확히 어떤 물질을 감지하는지, 또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감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답니다 ... ...
- [가상 인터뷰] 우주의 유령 ‘중성미자’가 남극 얼음에서 발견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할젠 교수팀은 지구로부터 4700광년 떨어진 고래자리 A은하에서 날아온 중성미자 79개를 검출했다고 발표했어요. 아이스 큐브는 2018년에 처음으로 지구로부터 37억 광년 떨어진 오리온자리 블랙홀에서 나온 중성미자를 발견했는데, 이번에는 100배나 가까운 곳에서 나온 중성미자를 확인한 거랍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님은 차가운 도시 광부?! 시리얼에서 광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최재우 책임연구원팀은 폐기물에 있는 금을 99.9%의 효율로 회수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그동안 폐기물에서 금을 추출하는 과정에는 화학물질이 대량으로 사용되거나 높은 온도가 필요했습니다. 연구팀은 오직 금 이온과 결합하는 흡착 소재를 만들고, 여기에 다른 물질이 ... ...
- 미션1. 다양한 재료를 준비하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아쉽게도 카페에 준비된 재료는 많지 않아요. 일단 남아있는 재료를 모두 모아야겠어요. 딸기맛 마시멜로, 먼지맛 마시멜로, 별 초콜릿, 동글 초콜릿.... 종류별로 ... 2, 3, 5가 모여 10이 됐네요. 또, 꼬챙이에 꽂은 마시멜로 5개 중 딸기맛은 2개, 먼지맛은 3개예요. 5가 2와 3으로 갈라지지요 ... ...
- [출동!슈퍼M] 피자를 다른 모양으로 나눌 수는 없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있기 때문이에요. 보통 가게에 피자를 주문하면 피자에 4개의 직선을 그어 부채꼴 조각 8개로 나눠서 주지요. 이때 부채꼴 조각의 크기를 똑같게 하려면 ‘중심각’이 같아야 해요. 부채꼴의 중심각은 두 반지름 사이의 각도를 말해요. 만약 피자를 6명이 똑같이 나눠 먹는다면, 원의 각도인 360를 ... ...
- [과학 뉴스] 대왕고래는 매일 미세 플라스틱 1000만 개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매일 빼놓지 않고 먹는 것은 안타깝게도 ‘미세 플라스틱’이에요. 그것도 1000만 개에 이를 만큼 어마어마한 양이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홉킨스연구소 메튜 사보카 연구원과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샤이럴 카헤인라포트 연구원은 지난 11월 2일, 대왕고래를 비롯해 수염고래들이 하루 약 43.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