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해양 미션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비행기나 고속열차보다 느릴까.’바다를 대상으로 한 이같은 의문은 예전에도 있었다.
다만
공상과 상상에만 머물렀을 뿐이다. 과학기술이 터무니없이 부족했기 때문일까.아니다. 필요하지 않은 데다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간이 지구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바다밖에 없다면 ... ...
사영기하학, 파스칼의 육각형 탐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정리를 다른 도형에 적용해 불변성과 규칙성을 찾기 위해 노력한 모습이 보기 좋다.
다만
좀더 다양한 다각형을 정밀하게 조사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평면도형뿐만 아니라 입체도형에 대해서도 사영 변환을 실험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실제 그림을 그려 알아낸 규칙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 ...
[5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많은 청소년 기자들이 쓰고 있는 내용에서 한단계만 더 나아가면 된다. 어렵지 않다.
다만
, 마지막 한가지 충고. 인터넷에 있는 정보나 자료를 그냥 쓰지는 말자. 참고해서 독자의 시각을 끌 수 있는 주제나 메시지를 조금만 더 끌어내 보자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가장 많았다. 이 종류는 뮤신이라는 점막 성분을 잘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장유형3에서 루미노코쿠스속의 점유도는 장유형1의 박테로이데스 속이나 장유형2의 프레보텔라 속에 비해 꽤 낮았고 상대적으로 박테로이데스속도 많았다. 따라서 장유형3은 장유형1에 가깝다.실망스럽게도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해도 파동함수는 붕괴하지 않는다. 책상 아래, 위, 5500km 상공 모두에 볼펜이 존재한다.
다만
세 곳에 각각 볼펜이 있는 세계가 ‘갈라질’ 뿐이다. 그리고 갈라진 세계 하나하나가 다중우주다.이 해석에 따르면 우리(정확히는 우리를 구성하는 입자들)가 행하는 모든 판단과 행동도 다 우주를 ... ...
흉터 없이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적고, 경우에 따라선 거의 눈에 띄지 않아 특히 여성환자들에게 인기가 좋다”며 “
다만
수술 방식이 복강경 수술에 비해 번거롭기 때문에 시도하는 의사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노트 수술은 이런 문제가 더 심각하다. 사람 손으로 수술하기엔 너무 어렵기 때문에 이 수술을 시도하는 자체를 ... ...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남성보다 높으니 복근을 드러내기 어렵지 않을까.남성과 여성 복근의 차이는 없다.
다만
성 호르몬으로 인해 크기는 차이가 난다. 평균적으로 남성의 체중에서 근육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40%. 근육에서 단백질 합성이 이루어지는데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고 근육에서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사례를 수집하고 관련 이미지를 기사 중간중간에 볼 수 있도록 한 노력이 돋보인다.
다만
너무 많은 사례를 한 꼭지의 기사에 포함시키다 보니 불분명한 표현이 눈에 띄는 점은 아쉽다. ‘과동 Pickup’에 선정된 ‘건축도 과학이다’도 생활 속 궁금한 소재를 찾아 과학 기사로 작성했다. 음악회가 ...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해도, 부가 한쪽으로 심하게 쏠린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의 삶은 나아지지 않을 것이다.
다만
산술평균이 증가했기에 잘 살게 됐다고 착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빈부격차가 심각한 상태에서는 아무리 1인당 국민소득이 증가한다고 해서 대다수 사람들의 소득이 늘어 나는 것은 아니며,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모델로 실제 뇌와는 기능이 다릅니다. 너무 단순하고 인공적이라 실제와는 거리가 멀죠.
다만
, 알고리듬 측면에서 활용할 여지는 많아서 공학에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이 씁니다.”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인공신경망을 실제 뇌에 비교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인공신경망도 이런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